유가 폭등에…정부, 비축유 공동방출 동참한다

입력 2021-11-24 08:40:00

2011년 리비아 사태 당시와 비숫한 비축유 4~5% 수준 방출 전망

오는 12일부터 유류세가 인하되는 가운데 국내 휘발유 가격은 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25.2원 오른 ℓ당 1천787.9원을 기록했다. 지난주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던 국제유가는 이번 주 소폭 하락했다. 사진은 7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 앞에 게시된 가격표. 연합뉴스
오는 12일부터 유류세가 인하되는 가운데 국내 휘발유 가격은 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25.2원 오른 ℓ당 1천787.9원을 기록했다. 지난주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던 국제유가는 이번 주 소폭 하락했다. 사진은 7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 앞에 게시된 가격표. 연합뉴스

유가 폭등에 한국이 미국의 비축유 공동방출 제안에 동참키로 했다. 최근 고유가에 국제 공조 필요성이 높아진 데다 한미동맹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정부는 23일 "미국이 제안한 비축유 공동방출 제안에 동참한다"며 "최근 급상승한 국제 유가에 대한 국제 공조, 한미동맹의 중요성, 주요 국가들의 참여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은 국제 유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최근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인도, 일본 등 주요국에 비축유 방출을 요청했다.

정부는 비축유 방출 규모와 시기, 방식 등은 추후 구체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과거 국제에너지기구(IEA) 국제공조에 따른 방출 사례와 유사한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본다"며 "국내 비축유는 IEA 국제기준에 따라 100일 이상 지속 가능한 물량을 보유하게 되므로 비축유를 방출하더라도 비상시 석유 수급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리나라는 2011년 리비아 사태 때 전체 비축유의 약 4% 수준인 346만7000배럴을 방출한 바 있다. 이번에도 4∼5% 수준에서 방출 규모가 결정될 전망이다.

정부는 비축유 관리 규정에 따라 국내에 석유 수급 차질이 빚어지거나 국제협력 차원에서 공동 대응할 때 비축유를 방출할 수 있다.

정부는 향후 비축유를 관리하는 한국석유공사에 방출 지시를 내리며, 석유공사는 정유사에 대여하거나 판매하는 방식으로 비축유를 방출한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 9개 기지에 9700만배럴의 석유를 비축하고 있다. 이는 지난 6월 기준으로 석유 수입 없이 국내에서 106일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