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노사평화의 전당, 市 직영으로 논란 일단락

입력 2021-11-11 17:08:07 수정 2021-11-11 18:54:32

12일 달성국가산단서 개관식…전태일 열사 별도관 마련하고 소개 문구 세밀하게 검수 마쳐
운영주체, 콘텐츠 구성 놓고 대립, ‘노사평화’ 가치편향 논란 숙제
市 “최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하며 진행”市 “최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하며 진행”

대구 노사평화의 전당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 노사평화의 전당 전경. 대구시 제공

'전국 최초 노사상생 모델 거점공간'을 내세웠지만, 가치편향·운영주체 등의 문제로 홍역을 치렀던 대구 노사평화의 전당이 논란 끝에 공식 개관한다.

대구시는 12일 오후 달성군 구지면 대구국가산단에서 노사평화의 전당 개관식을 연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17년 고용노동부 공모에 선정돼 총 사업비 200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88억원, 특별교부세 12억원)이 투입된 대구 노사평화의 전당은 국내외 노사 모범사례를 전문적으로 교육·연구·홍보하려 건립됐다.

국가산단 내 1만6천500㎡ 부지에 연면적 5천169㎡,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들어선 노사평화의 전당은 노동·산업역사관, 교육·모의체험관을 비롯해 다목적홀과 교육·세미나실, 건강관리실 등을 갖췄다.

가장 민감한 주제인 운영 주체에 대해서는 일단 대구시가 직영하기로 했다. 그간 지역 노동계 안팎에선 전당 건립에 힘쓴 한국노총이 위탁 운영권자로 내정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운영 주체를 누구로 하느냐에 대한 시각이 단체마다 다 달랐다"며 "개관 후 조기 안정화를 위해 우선은 시가 직접 운영하고 향후 위탁운영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대한민국과 대구 노사 발전사를 상징하는 역사적인 사건들을 소개하는 콘텐츠 구성에 대해서도 대구시는 학계, 노조, 시민단체 등과 활발하게 논의해 결정했다고 전했다.

전당에 어떤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전시하느냐에 따라 학생과 시민에게 미치는 가치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전당에는 대구가 배출한 노동운동가 전태일 열사의 별도관이 마련됐다. 또 사건 소개 문구를 세밀하게 검수받은 뒤 결정했다.

시는 앞으로도 다양한 노사상생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한편 교육청 등 공공기관과 기업, 노사단체 등과 교류를 활성화해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온·오프라인 홍보, 시티투어를 통해 시민 관심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노사평화의 전당이 노사관계 개선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활성화하겠다"고 했다.

다만 '노사평화' 명칭 문제는 향후 운영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숙제로 보인다.

지난 2019년 열린 노사평화의 전당 자문위원단 회의에서는 "노사평화란 이름 자체가 이데올로기 편향적이고 노사평화 합의를 내포하는 듯해 노동자에게 불리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평화' 대신 '상생'이란 단어를 넣자는 의견, '노동자' 세 글자를 넣자는 의견 등이 나왔다.

대구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사가 평화롭다는 것은 노동자의 발언권이 약하다는 뜻"이라며 "명칭에 대해서는 개관 이후에도 논의가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