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가뭄'에…대구경북, 수출 타격 못 피한다 "중국 수입재개 시급"

입력 2021-11-08 14:06:47 수정 2021-11-08 20:28:03

구미상의, 중국과 외교 협상·수출재개 촉구
정부는 호주·베트남 등 수입 대체국 찾아야

국내 요소 공급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중국이 지난달 요소수의 원료인 요소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요소수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일 오전 대구 북구의 한 주유소에
국내 요소 공급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중국이 지난달 요소수의 원료인 요소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요소수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일 오전 대구 북구의 한 주유소에 '요소수 매진'이라는 안내문구가 붙어 있다. 온라인 마켓에서 1만 원 수준에 판매되던 요소수는 이날 10만 원까지 오른 모습을 보였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물류대란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대구경북의 수출전선에도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구미상공회의소는 8일 우리나라가 절대적으로 요소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중국이 수출 금지 조치를 풀 수 있도록 긴밀한 외교협상을 빠르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발표했다.

구미상의에 따르면 내륙 최대 수출기지인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수출업체들을 조사한 결과, 요소수 공급이 빠르게 해결되지 않으면 몇 주 내로 물류대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등 수출전선에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대형 화물차의 경우 구미~부산항을 왕복하는 300여 km 거리를 주행하면 10ℓ 정도의 요소수가 소요된다. 하지만 정부가 최근 호주로부터 긴급 수입하기로 한 요소수 물량 2만ℓ는 화물차 2천대가 1회 정도 넣을 수 있는 분량에 불과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구미를 비롯한 창원, 울산 등 국내 주요 수출기지와 물류수송이 집중된 부산, 인천, 경기도 등은 몇 주 분의 요소수 재고가 소진되면 대란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구미상의는 산업 일선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수 적정재고를 보유하지 못한 점과 원료의 98%를 중국 수입에 의존하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안일한 대비능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구미상의는 ▷중국과의 긴밀한 외교협상으로 단시간 내 수출재개 실현 ▷산업용 요소의 차량용 전환 ▷호주‧베트남 등 타 국가로부터의 수입대체 및 신속 통관 ▷매점매석 집중 단속 ▷권역‧지역별 민관합동 요소 수급난 대책 운영반 가동 등 정부차원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