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삼성엔지니어링-롯데케미칼, 수소 사업 맞손

입력 2021-10-28 17:04:33 수정 2021-10-29 18:43:27

국내외 수소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 위해 MOU 체결
블루·그린 수소 도입 탄소중립 선도…전문성·성과 공유 시너지 효과 기대

포스코는 28일 서울 시그니엘 호텔에서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과
포스코는 28일 서울 시그니엘 호텔에서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과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협력을 약속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우리나라 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 기업들과 친환경 수소 사업을 위해 협력한다.

포스코는 28일 삼성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과 '국내외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서울 잠실 시그니엘 호텔에서 진행된 체결식에는 유병옥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과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 회사는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외 블루·그린 수소 도입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과 국내외 수소 사업의 개발·투자·운영 등을 위해 손을 맞잡기로 했다.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그간 진행해온 수소 관련 성과들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이를 토대로 대한민국 수소 경제를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그린 수소 생산 50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석탄 대신 수소로 철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단계별로 기존 고로를 대체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소의 생산 단계부터 운송, 저장, 활용에 이르기까지 사업권과 기술력 확보에 힘을 모으고 있다.

우선 수소 생산을 위해 호주·중동 등 우수한 입지의 그린 수소 생산 프로젝트에 다수 참여 중이고, 수소 운송과 저장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암모니아 수소 추출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며 여러 연구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수소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을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3월 삼성벤처투자가 결성한 투자조합에 300억원을 출자해 기술 확보에 나섰으며, 6월에는 글로벌에너지 기술 기업인 베이커 휴즈와 'CCUS 및 수소 에너지 이용'과 관련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7월 2030년 탄소중립 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을 발표했다. 대규모 소비처, 대량 공급망, 친환경 기술 등 이미 보유한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청정 수소의 생산·활용·기술 발전을 주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유병옥 포스코 부장은 "철강, 화학, 엔지니어링 등 각기 다른 산업군 대표 기업이 만나 경쟁이 아닌 협력으로 국가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뜻깊은 시작"이라며 "세 회사 간 협업으로 경쟁력 있는 해외 사업을 선별하고 구매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한편, 세 회사는 지난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 암모니아 협의체'와 10월 '대한민국 수소 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 해외 청정 수소 도입을 위해 협력해 왔으며 최근에는 말레이시아 사라왁 지역의 블루·그린 수소 사업 개발을 위해 현지 주 정부와 공동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