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재고된 '아베마스크'…8천300만장 창고서 '낮잠'

입력 2021-10-28 11:44:26

제작·배포에 5천억원 들었지만 작은 사이즈와 열악한 품질에 외면

일본 자민당은 29일 오후 도쿄 시내 한 호텔에서 사실상 차기 총리가 될 27대 당 총재를 선출했다. 후보 4명 중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외무상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행정개혁상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된다. 사진은 한 표를 행사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연합뉴스
일본 자민당은 29일 오후 도쿄 시내 한 호텔에서 사실상 차기 총리가 될 27대 당 총재를 선출했다. 후보 4명 중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외무상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행정개혁상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된다. 사진은 한 표를 행사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집권 당시 최악의 세금낭비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아베 마스크'에 대한 논란이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다. 작은 사이즈와 품질 결함 등 문제점이 잇따라 나오면서 수천만장이 아직까지 창고에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회계검사원(한국 감사원 격)이 아베마스크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동안 일본 정부가 사들인 아베마스크는 총 2억8천700만 장에 달했다.

문제는 악성재고가 적잖다는 점이다. 이중 약 30%인 8천300만 장이 올 3월 현재 창고에 처박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창고에 보관된 8천300만 장을 조달 비용(평균단가 약 140엔)으로 환산하면 115억1천만엔(약 1천200억원)어치다.

일본에선 '아베노마스크'로 불리는 이 마스크는 코로나19이 확산하던 초기에 정부가 주문 제작해 작년 4월부터 무료로 배포한 천 재질의 마스크다. 전국의 모든 가구에 2장씩 우편으로 배송되고 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에도 공급됐다. 아베마스크를 주문 제작해 배포하는 데는 총 497억엔(약 5천12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아베 당시 총리는 마스크 품귀 사태가 심화하던 상황에서 빨아서 여러 번 쓸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웠고, 한때 일각에선 꽤 근사한 아이디어라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배송 지연, 품질 결함, 허접한 디자인, 작은 사이즈, 얇은 끈으로 인한 귀의 통증 등 수많은 문제점이 잇따라 지적되면서 이내 일본 국민의 외면의 받았다. 아베 전 총리 본인조차 처음에는 아베마스크를 착용하다가 슬그머니 다른 일반 마스크로 갈아 썼다.

일본 정부 입장에선 막대한 세금을 투입해 사들인 자산이어서 폐기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재고 물량이 워낙 많은 탓에 보관비용 등 '아베 마스크'가 지금까지도 국가 살림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소자키 요시히코 관방부 장관은 27일 기자회견에서 아베를 계승한 스가 요시히데 정권에 이어 기시다 후미오 현 내각에서도 논란을 일으키는 아베마스크와 관련해 "조달 등에는 특별히 문제가 없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창고에 보관된 잉여분의 활용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