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슬라'된 테슬라, 시가총액 1조 달러 돌파…허츠 "10만대 주문"

입력 2021-10-26 07:41:18

테슬라 12% 급등…자동차 업체 중 처음 1조 달러 클럽 가입
3분기 실적 호조에 모건스탠리 목표 주가 1천200달러 제시

테슬라가 지난 2010년 6월 29일 뉴욕증시 나스닥에 상장됐을 때 머스크의 모습. 연합뉴스
테슬라가 지난 2010년 6월 29일 뉴욕증시 나스닥에 상장됐을 때 머스크의 모습. 연합뉴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 시가총액이 25일(현지시간) 1조 달러를 돌파했다.

또 주가는 1천 달러를 넘어서며 이른바 '천슬라' 고지에 올랐다.

테슬라는 이날 미국 뉴욕 증시에서 전장보다 12.66% 급등한 1천24.86달러로 장을 마쳤다. 시가 총액은 1조100억 달러(1천183조 원)까지 치솟았다.

시총 1조 달러는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모회사 알파벳만 보유한 기록으로, 테슬라는 전세계 자동차 업체 중 처음으로 1조 달러 클럽에 가입하는 데 성공했다.

이날 테슬라 주가 급등은 렌터카 업체 허츠발(發) 호재가 이끌었다.

앞서 허츠는 2022년 말까지 테슬라의 보급형 세단 '모델3' 10만대를 구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허츠의 보유 렌터카 규모가 40만대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테슬라 주문수량 10만대는 상당한 비율이다.

허츠 임시 최고경영자(CEO) 마크 필즈는 성명에서 전기차가 렌터카 시장에서 점점 더 주류의 지위로 이동하고 있다며 고객에게 렌터카용 전기차를 선도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렌터카용 테슬라 전기차를 이미 영업장에 배치 중이고 11월 초부터 미국과 유럽의 허츠 지점에서 모델3 대여가 가능하다며 "테슬라는 전기차를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제조업체"라고 강조했다.

AP 통신은 허츠가 구체적인 테슬라 차 구매 금액을 밝히지 않았으나 모델3 기본가격이 4만 달러이기 때문에 전체 계약 금액은 40억 달러(4조6천8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월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가 테슬라의 향후 수익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목표 주가를 900달러에서 1천200달러로 상향 조정한 것도 주가 급등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