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장마와 고온다습한 날씨로 모종에 활착이 안돼
최근 10월 중순 답지 않은 고온다습 날씨가 이어지면서 고령지역 명품 농산물인 '고령딸기'가 잎이 기형적으로 커지고 뿌리가 썩는 등 탄저병이 발생, 딸기농가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고령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현재 고령지역 딸기 재배 321농가, 170여㏊ 가운데 20~30% 농가가 탄저병 피해를 입었다.
지난 8~9월 사이 가을장마가 오랫동안 이어진데다 기온마저 떨어지지 않고 30도를 육박해 피해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 시기는 딸기 모종을 캐서 하우스에 정식을 하는 시기인데, 높은 기온과 습도로 모종이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괴사모종도 늘어나고 있다.
실제 쌍림지역 한 딸기 농가에는 3잎 가운데 2잎만이 기형적으로 자라는 딸기모종이 밭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농민들은 탄저병 발생으로 딸기재배 900㎡의 하우스 한동 당 인건비 등을 포함, 대략 1천500여만원의 재산피해를 예상하고 있다.
고령군 쌍림면에서 딸기재배를 하는 황동열(55) 씨는 "최근 여름처럼 습도가 높아 저온성 작물인 딸기가 견디지 못한 것 같다"며 "탄저병과 함께 위황병, 선충병, 시드름병 등이 복합적으로 오는 바람에 딸기농사는 거의 포기해야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탄저병 피해 농가들은 딸기 모종을 새로 심으려 해도 모종을 구할 수 없는데다, 시기마저 놓쳐 울상을 짓고 있다.
고령군은 최근 잇따른 딸기농가 피해가 예상되자 예비비로 농가에 1억원을 긴급지원, 친환경 살균제를 무상보급했으나 농가의 피해 규모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