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격무에 녹초…경북도 사회복지 공무원 '곡소리'

입력 2021-10-07 16:24:44 수정 2021-10-07 19:24:12

도 예산의 약 35%인 복지 예산 담당…과중한 업무 스트레스 호소
민원인 폭언·폭력에 상습·반복 노출…행정직 대비 사무관 비율은 낮아 '홀대'
일부 '번아웃'에 사직·휴직도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이 진행되는 행정복지센터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이 진행되는 행정복지센터 모습. 연합뉴스

경북도내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이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로 애를 먹고 있다.

한정된 인원으로 급증하는 복지업무를 수행 중인 데다 코로나19 사태 후 격무에 시달리는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늘고 있는 것이다. 상습·반복적인 민원인의 폭언·폭력에도 노출돼 근로환경 악화와 함께 복지 서비스 질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7일 경북사회복지사협회 등에 따르면 도내 시·군에는 2천37명의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경북도 전체예산 중 34.9%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재정을 담당하며 시·군에서도 27% 이상의 재정을 처리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근로 환경이 녹록치 않다는 점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각종 재난지원금, 생계지원금 지급으로 일부 업무는 과거와 비교해 폭증하는 수준이다.

2020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조사에 따르면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47.47시간으로 시설에 복무하는 사회복지사(약 41~44시간)보다 많았다.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도 11.6%로 조사됐고 월평균 주말, 공휴일 근무 횟수도 3.26회로 나타났다.

상습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인의 폭언·폭력 등 피해는 지난 2018년 한 해 동안 15만여 건에 달한다는 조사도 있다. 격무에 시달리던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까지 발생할 만큼 이들은 '번아웃(신체·정신적 극도의 피로)'과 '스트레스 및 우울' 등 고통을 호소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증한 업무, 민원 제기로 사직 또는 휴직하는 사회복지직 공무원도 속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처우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특히 시·군 각 분야를 책임지는 5급 사무관의 경우 51명으로 전체 인원 중 2.5%에 불과하다. 행정직 공무원의 5급 비율이 7.9%인 점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아 사회복지 서비스 전문성 강화의 길을 가로막고 있다.

경북사회복지사협회 관계자는 "예산의 3분의 1가량을 담당하며 30년 이상 근무한 경력에도 진급하기가 쉽지 않아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이 관계자는 또 "'나의 삶을 책임지는 국가'를 만들기 위해 사회복지 예산의 증가는 앞으로도 계속 이뤄질 것이며 이를 편성·집행하는 인력은 사회복지직 공무원"이라면서 "좋은 정책 개발, 예산의 효율적 집행 등 이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업무환경 개선, 관리자 직급 확대 등 현장 호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