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미분양 주택 물량 2배 이상 증가…전국 유일

입력 2021-10-01 14:46:06 수정 2021-10-01 19:07:13

8월 2천365가구…업계 "하반기 고비"
8월 아파트매매도 1천628건, 2016년 6월 이후 최저치

대구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매일신문DB
대구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매일신문DB

대구 미분양 주택이 급증했다. 아파트 매매시장에서는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8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대구 미분양주택은 2천365가구로 전월(1천148가구) 대비 1천217가구(106.0%) 증가했다.

8월 대구 미분양주택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 미분양주택이 7월 1만 5천198가구에서 8월 1만 4천864가구로 감소(역대 최저)한 것과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다만 준공 후 대구 미분양주택은 125가구로 전월보다 12가구(8.8%) 감소했다.

부동산업계는 대구 미분양 물량이 아직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5천 가구가 넘어서면 미분양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질 수 있다"며 "입주 물량이 몰리는 올 하반기가 고비"라고 진단했다.

'거래절벽'은 전국 공통 현상이다. 올해 6월 정부가 양도세 중과를 도입한 이후 세금발 매물 잠김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대구의 8월 아파트 매매건수는 1천682건으로 전월(1천750건) 대비 7%가량 감소했다. 이는 2016년 6월(1천506건) 이후 5년 2개월만에 최저치다.

업계 관계자들은 "당분간 거래절벽 현상에 따른 버티기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