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분기 집값 상승률 6.8%…주요 55개국중 31위

입력 2021-09-19 06:57:16 수정 2021-09-19 07:21:14

선진 10개국 평균 상승률 12%
코로나19 경기부양으로 저금리 기조 이어진 탓

지난 2분기 전세계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주택가격은 비교적 상승률이 높지 않았다. 15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청량산에서 바라본 동춘동과 송도국제도시에 고층 아파트 건물들이 우뚝 서 있다. 연합뉴스
지난 2분기 전세계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주택가격은 비교적 상승률이 높지 않았다. 15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청량산에서 바라본 동춘동과 송도국제도시에 고층 아파트 건물들이 우뚝 서 있다. 연합뉴스

지난 2분기 전세계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주택가격은 비교적 상승률이 높지 않았다.

19일 영국 부동산 정보업체 나이트 프랭크의 '글로벌 주택 가격 지수'에 따르면 한국의 2분기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6.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에 오른 55개국 중 31위에 해당하는 상승률이다. 5.8% 인상을 기록했던 지난 1분기보다 상승폭이 컸지만 순위 자체는 29위에서 31위로 소폭 떨어졌다. 이번 조사에서 조사 대상 55개국 평균 상승률이 9.2%에 달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에 대응한 경기부양책으로 막대한 유동성이 풀리고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환율과 물가가 불안한 터키가 주택가격 상승률이 29.2%로, 6분기째 1위를 고수했다.

뉴질랜드(25.9%), 미국(18.6%), 호주(16.4%), 캐나다(16.0%) 등 선진국이 주택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선진 10개국 평균 상승률은 12%에 달했다.

이중 미국이 1분기에 13.2% 올라 2005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엔 한층 더 치솟았다.

호주도 2분기 상승률이 2003년 이후 가장 가장 높았다.

이번에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국가가 18개국에 달했다.

2분기에 주택가격이 하락한 국가는 인도(-0.5%)와 스페인(-0.9%) 등 2개국에 불과했다.

한국을 비롯해 나이트 프랭크가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한 10개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평균 4.7%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편이었다.

나이트 프랭크는 미국에서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하락하는 등 일부 국가에서 주택 수요가 둔화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고 뉴질랜드, 영국 등의 국가에서는 금리 인상 전망이 매수 심리를 압박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