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안전하다는 응답 72.3%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 목소리도 38.7% 달해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원자력 발전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국민 여론이 정반대인 만큼 탈원전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원자력학회가 지난 5∼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 원자력발전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2.1%가 원자력 발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데 찬성한다고 답했다.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와 같이 유지하거나 확대해야 하냐는 질문에는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35.9%로 가장 많았다. '현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가 34.0%, '현 수준보다 줄여야 한다'가 28.1%로 뒤를 이었다.
응답자 상당수는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에도 낙관적이었다. 전체의 72.3%가 '원자력 발전은 안전하다'고 답했고, '원자력발전은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23.3%에 그쳤다.
정부의 신한울 3, 4호기 건설 중단에 대해서는 반대 목소리가 높았다. 응답자의 42.8%가 공론화를 통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38.7%에 달했다. 건설 중지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14.8%에 그쳤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최근 탄소중립위원회는 2050년까지 탈원전 정책에 따라 순차적으로 원전을 폐쇄해 원자력발전 비중을 6, 7%로 대폭 축소한다는 시나리오는 원자력 비중을 유지 또는 확대를 지지하는 대다수 국민의 뜻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며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원자력발전의 이용을 찬성하는 민심을 간과한 탄소중립위원회의 편향적 운영을 중단할 것으로 강력히 요청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