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으로 몸집 키운 태풍 '찬투', 대만-중국 할퀴고 북상 예상 '많은 비 주의'

입력 2021-09-09 16:53:54 수정 2021-09-09 16:54:25

찬투 예상 이동경로. 기상청 제공
찬투 예상 이동경로. 기상청 제공

지난 7일 필리핀 동부 해상에서 발생한 제 14호 태풍 '찬투'가 몸집을 키워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이다. 이날 오후부터 중심 최대풍속 초속 55m, 중심기압 920hPa(헥토파스칼) 수준의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할 전망이라 우리나라에도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찬투'가 이날 오후 부터 초강력태풍으로 발달할 것"이라며 "이후 최고 등급을 유지하며 12~13일 대만 남단과 중국 남동 해안 부근을 거쳐 빠르면 14일, 늦으면 15일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예정이다.

현재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6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2㎞로 서진하는 '찬투'는 30도 안팎의 고수온 지역을 지나가면서 폭발적으로 발달할 에너지원을 확보했고, 북쪽에 놓인 아열대 고기압으로 인해 회전력이 증가한 데다, 직경 400㎞로 규모의 작은 크기로 집중도를 강화해 빠르게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앞으로 진로 예측을 보면, 태풍 '찬투'는 일요일인 11일 대만 남단 부근과 13일 중국 남동부 해안 부근을 거쳐 다음주 초 우리나라로 북상할 것으로 보인다.

태풍의 정확한 진로는 아직 유동적이다. 아열대 고기압의 세력과 태풍의 강도, 이동 속도에 따라 ▶중국 남동부에 상륙한 후 저기압으로 세력 약화 ▶대만 부근에서 북상해 우리나라 남쪽에 영향을 준 뒤 일본 열도로 이동하는 경우 2가지로 나뉠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대만을 거쳐 북쪽으로 향하는 진로의 경우 14일 전후에 제주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태풍이 저기압으로 변질돼 들어오더라도 우리나라 북쪽 상공에 찬공기가 위치해 있어 남쪽의 고온의 에너지와 만나 호우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며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기상청이 이날 오전 발표한 열흘치 중기예보(~19일)에는 강수가 반영돼 있지 않다. 이에 대해 기상청은 "예측 변동성이 워낙 커 태풍을 아직 반영하지 않았다"며 "12일쯤 태풍의 진로 신뢰도가 올라가면 강수 지역을 점차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14호 태풍 찬투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의 일종이다. 이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준다면 지난 12호 태풍 '오마이스'에 이어 올해 2번째 태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