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3산단·서대구산단 재생사업 탄력 붙는다

입력 2021-09-09 16:44:15 수정 2021-09-09 20:11:01

市, 노후산단 '용적률 상향' 사업지구계획 변경안 고시
편입부지 건축한계선 예외도…3산단은 토지이용계획 변경
산업·지원·공공시설용지로…서대구, 측량된 지적선 정비

대구 제3산업단지 일대 전경. 매일신문DB
대구 제3산업단지 일대 전경. 매일신문DB

도심 노후산단 재생사업 활성화 차원에서 건축한계선을 완화하고 용적률 상향을 적용하는 내용은 담은 노후산단 재생사업지구계획 변경안이 확정된다. 이같은 대구시의 결정으로 제3산업단지와 서대구산업단지 환경 개선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지난달 31일 3산단 재생사업지구계획 변경안을 심의, 의결하고 10일 이를 고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의결을 통해 제3산업단지와 서대구산업단지가 공통으로 변경되는 점은 기존 반영된 건축한계선 적용 범위를 완화하는 것이다.

대구시는 '도로확장 재생사업이 추진되면서 편입되는 부지는 최초 건축행위 시 불합리하게 적용되는 건축한계선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관련 조항을 추가했다. 재생사업 민원해소는 물론 도로확장 재생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건축이 금지된 공지에 접한 도로를 전면도로로 하는 대지, 너비 25m 이상인 도로에 20m 이상 접한 대지가 완화조건을 충족할 경우 이번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 통합심의를 통해 용적률을 120%로 일괄 상향할 수 있게 됐다. 이전에는 별도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야만 용적률을 상향할 수 있었다.

3산단 재생사업지구계는 옛 삼영초등학교 부지 1만6천402㎡에 기업 및 근로자 지원시설로 건립하기 위해 토지이용계획을 산업시설용지 및 지원시설용지, 공공시설용지로 각각 변경했다. 기업과 근로자 지원을 위한 '혁신지원센터 및 복합문화센터', '임대형 지식산업센터', '사회적경제혁신타운' 건축을 위한 계획을 반영한 것으로 일부 공간은 지하주차장과 공원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서대구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계획에는 복합용지로 지정돼 있던 이현동 42-4번지의 공장부지를 산업시설용지로 바꾸는 토지이용계획 변경과 와룡로90길, 북비산로의 일부 구간 도시계획선과 측량된 지적선 정비 등이 반영됐다.

정의관 대구시 경제국장은 "대구시는 제3산업단지와 서대구산업단지재생사업이 이번 재생사업지구계획 변경을 통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하고 있다. 입지가 양호한 도심의 다른 산업단지들도 활성화돼 지역 경제발전으로 이어지게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