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충무 시의원, 페이스북 기사에 댓글…네티즌들 질타 쏟아져
경북 영주시 순흥면에 조성한 영주효문화진흥원이 완공 2년 7개월째 방치됐다(매일신문 2월 24일 자 10면)는 보도가 나가자 우충무 영주시의원이 페이스북 기사에 변명성 댓글을 달아 네티즌들의 질타가 뜨겁다.
우 시의원은 "공모 당시 광역자치단체와 시가 공동운영하는 조건이었으나 준공 후 경상북도가 운영비 지원에 난색을 표했고 별도의 사단법인을 신규로 만들어 운영하라는 보건복지부 지침에 따라 매년 시비 8억원을 부담하도록 되어 추가적인 국도비 지원책을 마련하도록 상임위원회에서 제시했다"며 "선비세상 공사현장을 통과해야 하는 등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선비세상 준공과 함께 통합 운영, 예산낭비와 운영효율화를 기한 사항이다. 앞으로 관심을 갖고 최선의 방안을 고민하겠다"는 글을 남겼다.

하지만 우 시의원이 남긴 글 가운데 "경북도가 공동 운영하기로 했고 준공 후 경상북도가 운영비 지원에 난색을 표했다"는 내용과 "운영비가 8억원이란"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
공모사업에 영주시가 제출한 영주효문화진흥원 사업계획서 운영 재원조달 계획에는 "건립 이후 운영은 효문화원 자체수익으로 운영함을 원칙으로 한다. 건립 초기에는 시비 지원방안을 검토한다. 건립초기에는 효문화진흥원 자체수익은 매년 운영비의 60%를 부담하고 시비는 매년 운영비의 40% 정도 부담한다. 자체수익이 증대될 경우 시비 보조금 비율을 줄이고 자체수익으로 충당한다. 시설운영비는 매년 8억2천900만원과 인건비 4억1천만원 등 총 12억3천900만원이 지출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애초 영주시가 정부에 직접 건의해 선정된 사업이었고 시가 제출한 사업 계획서에도 경북도와 운영비를 분담한다는 내용은 없다"면서 "하지만 건설비로 국비와 도비, 시비가 함께 투입된 만큼 법인 설립 등 후속 절차가 조속히 이뤄지도록 영주시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 네티즌들의 반응도 뜨겁다. "만드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관리도 잘해야 된다. 본인들 돈 아니라고 쓰고, 잘 안된다고 방치하면 끝이 아니다. 이러니 시의원들이 욕먹는다. 시의원 월급도 시민 혈세다. 책임져야 된다. 세금 낭비다. 의회는 뭐하고 있나. 늦었지만 용역이 착수된 만큼 잘되는 방향을 찾아야 된다"는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이영호 영주시의회 의장은 "시 의회 공식입장이 아니다"라고 했다.
우충무 시의원은 "개인 의견이다. 이 사업은 광역자치단체가 하도록 한 사업으로 첫 단추부터 잘못끼워졌다. 집행부가 업무보고를 하는 과정에 운영비를 경북도에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고 속기록을 보내왔다. 하지만 속기록에는 사업비와 관련 질의와 답변만 있을뿐 운영비와 관련된 내용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영주효문화진흥원은 2012년 보건복지부가 추진한 효문화진흥원 전국 건립지역에 대전시와 함께 선정됐다. 영주시는 2013년 사업비 97억3천400만원(국비 42억1천700만원, 도비 12억6천500만원, 시비42억5천200만원)을 들여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 326번지 부지 1만4천336㎡에 건축면적 1천762㎡ 규모의 효문화진흥원건립 공사에 착수, 2018년 완공했다. 하지만 대전시는 2016년 준공과 함께 법인을 설립돼 운영중이지만 영주시는 시의회의 반대로 효문화진흥원 운영재단 설립과 지원조례 제정조차 못해 2년7개월째 방치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