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속도 빠르고 더 독해진 '변이 바이러스', 기존 백신 효과 있을까

입력 2020-12-28 12:37:59 수정 2020-12-28 13:23:18

치명률 높지 않아 기존 백신 효과 있을 것으로 기대

영국발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확인되는 등 코로나19 확산이 계속되고 있는 2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출국장에서 방호복을 입은 출국객들이 수속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발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확인되는 등 코로나19 확산이 계속되고 있는 2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출국장에서 방호복을 입은 출국객들이 수속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에서 유행하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된 것이 확인되면서 불안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변이 바이러스는 영국 현지에서도 코로나19 환자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등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영국에서 확산하기 시작해 국내에도 유입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지난 9월 영국 잉글랜드 남동부에서 처음 출현했다.

이후 영국 정부가 지난 14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유전자 분석 결과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분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영국 정부는 코로나19 환자의 급격한 증가세가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영국에서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40∼70% 크고, 감염 재생산지수를 최대 0.4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 재생산 지수가 1을 초과하면 '유행 지속', 1 미만이면 '발생 감소'를 의미한다. 0.4 높아질 경우 확산 속도가 크게 빨라질 수 있다.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 바이러스보다 치명률이 높다는 보고는 나오지 않았다.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변이할수록 전파 속도나 감염력은 높아지지만 치명률은 낮아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기존에 개발된 코로나19 백신을 무력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지만, 이 역시 근거가 없다는 게 국내외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변이 바이러스라고 하더라도 기존 바이러스와 단백질 구조 자체는 같아 백신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얼마만큼 효과를 낼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