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가 코로나 가족 전파 …"집에서도 마스크 써야"

입력 2020-12-27 16:53:25 수정 2020-12-27 17:17:32

지난 20일 광주 남구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귀가한 1학년 학생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기 위해 학교로 돌아가고 있다. 이 학교 1학년 학생이 자가격리 중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동급생 전체가 진단검사를 받았다. 연합뉴스
지난 20일 광주 남구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귀가한 1학년 학생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기 위해 학교로 돌아가고 있다. 이 학교 1학년 학생이 자가격리 중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동급생 전체가 진단검사를 받았다. 연합뉴스

코로나 19 가족 내 전파의 주요 감염원은 사회생활을 하는 40·50대 아빠나 엄마인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11월20일~12월16일) 국내에서 발생한 확진자 1만 5천111명에 대한 코로나 19 전파 특성 분석 결과, 24.2%(3천654명)가 가족 내 선행 확진자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같은 기간 발생한 0~19세 확진자 1천761명 중 43.5%(766명)는 가족 내 2차 전파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감염되는 선행 확진자는 40대(32.0%)와 50대(29.9%)가 가장 많았다. 직장을 다니는 아빠나 엄마가 사회생활을 통해 감염된 후 가족 내 배우자·자녀·부모로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방대본의 분석이다.

지난 5월 서울 이태원 클럽 발(發) 확산 땐 10~20대 자녀가 코로나에 확진된 후 부모, 조부모에게 전파하는 '가족 감염'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지금은 40·50대가 주축이 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지난달 3차 유행이 본격화하며 가족·지인 접촉에 따른 코로나 확산이 많이 늘고 있다. 방역 당국은 2~3월 대구경북의 1차 유행, 8~9월 수도권의 2차 유행이 교회, 집회 등 특정 집단에서 시작돼 확산세가 커졌다.

그러나 3차 유행은 가족·지인 모임, 식당, 학원, 병원, 체육시설 등 일상생활에서 소규모 발병이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마디병원 최창동 원장은 "집단발병은 격리·추적 조사가 쉽지만, 지역사회 소규모 발병은 감염원을 특정할 수 없어 추적 조사가 쉽지 않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더라도 가족·지인 간 만남은 지속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검사를 받고, 동거 가족 간에도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코로나로부터 나와 내 가족을 보호하려면 무엇보다 외출·모임을 자제하고, 가정 내에서도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의 개인 위생수칙 준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