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업체 10여 곳에 간접납품 업체도 다수…상황 예의주시
정부 정책 금융 활용 밝혀…"줄도산 가능성 낮다" 중론
쌍용자동차가 지난 21일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쌍용차에 납품하는 대구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완성차 업체의 폐업은 협력업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지만 다행히 대구 협력업체는 그리 많지 않고, 정부도 만약의 상황에 대비한 비상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쌍용차가 지난 2009년에 이어 11년 만에 두 번째 법정관리를 신청한 직접적 이유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했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22일 "대출 원금 2천550억원, 이자 2억7천여만원 등의 대출 원리금이 연체됐다"고 공시했다.
쌍용차의 이번 파산 위기에는 대주주 마힌드라그룹의 투자 의욕 상실, 신차 판매 부진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올해 11월까지 쌍용차 판매량은 9만6천여대로 전년 대비 20%가량 급감했고. 15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문제는 쌍용차의 위기가 납품업체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쌍용차 납품업체는 전국 219곳이며 납품금액은 1조8천억원이었다.
대구시가 파악한 지역 협력업체는 10여 곳으로, 2·3차 벤더로 참여해 간접 납품하는 업체까지 합하면 수십여 업체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쌍용차 의존도가 높은 지역 협력업체들이 걱정이다. 대구 A부품업체 대표는 "쌍용차 의존도가 높지 않다면 문제가 없지만 의존도가 30% 정도만 올라가도 쌍용차 회생신청 소식은 청천벽력과도 같다"며 "완성차 업체의 폐업으로 매출이 급락한다면 안 그래도 코로나19로 힘든 상황에서 생존의 기로에 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구부품업체들은 완성차 업체에 부실이 일어나면 우선 납품대금 회수가 문제가 될 것으로 우려했다.
B업체 대표는 "쌍용차가 최근 렉스턴 등 신차를 출시했는데 이에 필요한 설비 투자를 받은 기업들이 있을 것"이라며 "거액의 투자비를 받았는데 어음으로 수령했다면 부실채권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다만 쌍용차의 이번 회생신청은 2009년과 달리 협력사의 구조조정, 줄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정부는 앞서 회생신청에 따른 협력사 충격을 막으려 지원반을 가동하고 정책금융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금난 해소를 지원할 계획을 밝혔다.
또 쌍용차는 최대 3개월간 인수할 투자자를 찾아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면 회생 신청을 철회할 수 있는 자율 구조조정 지원 프로그램(ABS)을 함께 신청했기 때문에 실제 절차가 집행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