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형 ‘판교2밸리’ 고밀도 혁신공간 조성
국토부,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와 묶어 22일 선정
옛 경북도청 부지와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를 잇는 공간이 22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부의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도심 내부에 산·학·연 협력을 통해 혁신 성장이 이뤄지는 공간을 마련해 우수한 인재와 기업이 몰려드는 대구의 신성장 거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낳고 있다.
도심융합특구는 국토교통부가 지역균형발전 정책으로 추진하는 플랫폼 사업이다. 판교2밸리를 모델로, 지방 대도시 도심에 기업과 인재가 선호하는 산업·주거·문화 등 복합인프라를 고르게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대구시는 사업대상지로 옛 경북도청 부지,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를 잇는 공간을 국토부에 제안했다. 이 지역은 서로 반경 1㎞ 내에 인접해 있고 14만여㎡에 달하는 옛 경북도청의 넓은 부지와 삼성창조캠퍼스와 경북대가 이미 갖춘 기반 시설과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 9월 국토부의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 발표 이후 홍의락 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발빠르게 움직였다. 경북대, 지역 기업지원기관 및 이전 공공기관이 함께하는 도심융합특구 태스크포스(TF)도 구성했다.
TF는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 중심의 이른바 'DNA' 중심의 도심융합특구 밑그림을 그렸다. 대구시는 이 공간에 연구개발(R&D)시설, 혁신인재 양성체계, 창업 및 기업성장 지원체계 등을 갖춰 기업과 인재가 먼저 찾는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입주기업 500개사 ▷신규 일자리 1만개 확보 ▷20·30대 고용비율 65% 달성이 장기 목표다.
국토부는 이날 대구와 함께 광주를 사업대상지로 선정했으며 부산, 대전, 울산과도 적정지역 선정 협의를 진행해 내년에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대구는 올해 가장 먼저 사업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상대적으로 풍부한 인센티브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비 3억원을 확보했고, 도심융합 특구 지원정책이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지역 사정에 보다 알맞은 방향에서 접근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 선정은 대구에 내재된 혁신역량이 모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기회"라며 "대구형 뉴딜 도심융합특구가 한국형 뉴딜의 본보기이자, 지역혁신 성장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