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펀드 단기 수익률도 부진…코로나19 백신, 경기 회복 등 소식 영향
실질 금리는 당분간 낮은 수준 지속, 금 가격 다시 상승 탄력 받을 수도
금값이 연일 하락세다. 글로벌 위험자산 심리가 되살아난 반작용으로, 안전자산 금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KRX 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80% 내린 6만4천320원에 마감했다. 지난 7월 28일 사상 최고가 8만100원을 기록한 지 4개월 만에 19.7% 하락한 것이다.
국제 금 가격도 지난 8월 온스당 2천75달러를 넘겨 역대 최고치를 찍은 뒤로 꾸준히 내리다가 현재 1천800달러대로 소폭 반등했다.
금은 대표적인 실물 안전자산이다. 주식 같은 위험자산과 반대로 가격이 움직인다. 금은 이자가 없어서 금리가 내리면 금 가치가 올라가곤 한다.
올해 상반기 금값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치솟았다. 시장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산한 영향이다. 세계 각국의 경기 부양책으로 실질 금리가 내린 것도 한몫 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백신 개발·보급이 긍정적 분위기를 보이고, 경기 회복 기대도 커지면서 금값이 약세로 돌아섰다. 금에 투자하는 금 펀드도 덩달아 부진한 단기 수익률을 보인다.
다만, 한동안은 낮은 실질 금리로 인해 금값 상승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세계 각국이 경기 부양책을 지속하고 있어 저금리 추세가 한동안 지속된다는 것이다.
현재의 달러 약세 기조도 금값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금과 달러화는 보완재 성격의 안전 자산인 만큼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면 대체 투자수단인 금값이 오른다.
이런 이유로 전문가들은 자산 포트폴리오에 금 비중을 확대해도 좋다고 추천했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실질 금리 상승 제한과 달러화 약세가 금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내년에 금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