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수도권 2단계 유지, 비수도권 전체 1.5단계 격상

입력 2020-11-29 17:02:04 수정 2020-11-29 20:29:13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 사태와 관련해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2주간 유지하되, 집단감염 발생 위험도가 높은 사우나와 한증막 시설은 운영을 금지하기로 했다.

동시에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일제히 1.5단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특히 부산·경남·충북·강원 영서 등 지역특성에 따라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지방자치단체는 2단계 격상 등 강화된 방역조치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극복 기자간담회에서 "지역사회의 감염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수도권의 경우 2단계를 유지하더라도 줌바, 스피닝, 에어로빅 등 격렬한 운동을 함께 하는 실내 체육시설은 추가로 집합을 금지된다. 또 관악기·노래 등 비말발생 가능성이 높은 학원과 교습소 강습도 금지한다. 다만 대학입시준비생은 방역을 철저히 하는 조건하에 대상에서 제외한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 내에 운영되는 헬스장과 사우나, 카페, 독서실 등 복합편의 시설도 운영을 중단된다. 호텔과 파티룸, 게스트하우스 등 숙박시설에서 연말연시 행사와 파티가 전면 금지된다.

정 총리는 수도권의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는 "단계 조정과 관련 지자체와 의논을 했고, 중앙정부 각 부서에서도 서로 의견이 달라서 지난 2~3일간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께서 중심이 돼 이견을 조정해 결국 수도권은 2단계 플러스 알파, 비수도권은 1.5단계로 결론이 났다"고 설명했다.

확진자 숫자가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중요 지표가 되지만, 중증환자 수용 의료 시스템, 확진자 구성, 연령층 등 다양한 보조지표를 활용해 거리두기 단계 결정을 해야한다는 것.

정 총리는 "일률적인 단계조정을 하는 것 보다는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맞춤형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게 정밀방역"이라며 "정밀방역을 통해서 국민의 일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방역의 효과는 다 거두는 그런 노력을 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 중대본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부터 거리두기 단계 격상의 여부를 떠나 전 국민들께서 코로나 위기 방어태세에 돌입해야 한다"며 "국민과 함께하는 방역으로 전환하는 K-방역 시즌2를 열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