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조 부문 당선자인 이나영 시인의 첫 시조집이다. 당선작인 '흑점'도 실려있다. 전문적인 의학·과학 용어가 시어로 도입돼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점이 심사위원으로부터 높게 평가받았다.
"좁아진 시야만큼 햇빛도 일렁인다며/ 태양의 밀도 속에 움츠러든 코로나처럼/ 궤도를/ 이탈하는 중/ 너는, 늘/ 오리무중"('흑점' 중에서)
시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숲', '강', '바다' 등 자연배경이 드물다. '사찰', '유적지' 같은 초월의 공간도 거의 없다. 시조가 의존해왔던 자연 지향, 고전적 깨달음 지향의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시조가 현대인의 일상적 사유나 감각과 근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를 쓰면 뭐가 좋니/ 시집 내면 돈이 되니// 쓸 수밖에 없으니까,/ 먹고사는 길은 아냐,// 단숨에 발가벗겨진 그 말 앞에 가만 섰다'('사는게 詩詩하네' 중에서)
이 시인에게 시조란 무엇일까? 이 시인은 "쓸 수밖에 없에 없으니까"라고 말한다. 이 시인은 일상적인 언어를 시어로 채택해 자신만의 시조를 개척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