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테크노폴리스 "상권마저 죽었다"…공실률 절반 넘어

입력 2020-11-25 18:08:50 수정 2020-11-25 20:49:33

관계자 면접조사, 분양가 높은데 유동인구는 적다고 지적
인프라 확충, 소상공인 컨설팅 지원 등 대안으로

2020년 10월 달성군 대구테크노폴리스 전경. 매일신문DB
2020년 10월 달성군 대구테크노폴리스 전경. 매일신문DB

대구경북연구원은 25일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현재 50%가 넘는 상업시설 공실률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경연에 따르면, 올해 8월 28일부터 9월 18일까지 테크노폴리스 상업지구 1천743개 점포에 대한 전수 조사 결과 빈 점포는 883개로 공실률은 50.7%에 달했다.

부동산 업체, 상가지역 입점 상인, 지역 주민, 테크노폴리스 내 근무자 115명을 대상으로 한 개별면접조사에서 파악한 원인은 크게 6가지로 나타났다.

▷상가 분양가격이나 임대료가 너무 높음(30.8%) ▷지구 내 유동인구가 적음(20.8%) ▷상권입지 및 접근성이 좋지 못함(15.1%) ▷주변 문화시설, 커뮤니티 공간, 기타 즐길거리 등 집객 인프라 불충분(11.5%) 등이 10% 이상의 응답을 보였다.

이어 ▷적정한 규모의 점포가 없고 너무 크거나 작은 규모(7.2%) ▷주변 경쟁상권이나 주거단지 근린상가 너무 큼(5.4%)이 뒤를 이었다.

공실률 완화방안으로는 ▷실수요대비 적정 분야가 및 임대료 설정방안 강구(26.3%) ▷주변 편의시설 및 인프라 확충(20.3%) ▷지구 내주거단지 추가 조성(19.2%) ▷소상공인 대상 컨설팅 상시 지원(11.7%) ▷일부 생활권 상업용지 조기공급 (8.3%) 등이 꼽혔다.

공청회에 참가한 한 지역주민은 "현재 테크노폴리스는 산업시설용지 분양 후 아직 건물이 들어서지 않은 곳이 적잖고, 응급실이나 종합병원이 없어 주거지로서의 매력이 떨어져 상권 활성화에도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다.

강성환 대구시의원은 "새로 이사 온 주민들도 정주여건 문제로 테크노폴리스를 떠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점을 개선해야 유동인구가 늘고, 결과적으로 상업도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노폴리스가 지역구인 김원규 대구시의원은 "이번 연구용역이 향후 명실상부한 산업도시 대구테크노폴리스를 만드는 시작이 돼야 한다. 유관기관들이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