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치사율 3.3배, '도로 위 살인자' 살얼음 주의보

입력 2020-11-18 17:33:07 수정 2020-11-18 22:11:20

눈에 잘 띄지 않아 대비 어렵고 제동거리 승용차 4배·버스 7배↑
운행 전 기상 상태 확인, 커브 시 감속 등 수칙 지켜야

대구스타디움 인근 도로에 빙판길 주의 운행을 당부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는 모습. 매일신문DB
대구스타디움 인근 도로에 빙판길 주의 운행을 당부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는 모습. 매일신문DB

첫눈이 내리며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된다는 '소설(小雪)'을 사흘 앞두고 한국교통안전공단이 교통사고 치사율을 크게 높이는 '도로 위 살얼음' 주의보를 내렸다.

한국교통안전공단 대구경북본부의 2019년 교통사고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로 노면이 서리 혹은 결빙 상태, 즉 도로 위에 살얼음이 끼었을 때 치사율은 4.6%로 적설 상태(1.2%)에 비해 3.8배, 마른 노면 상태(1.4%)에 비해서는 3.3배 높게 나타났다.

도로에 살얼음이 낄 경우 특히 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게 공단의 얘기다. 실제로 한국교통안전공단이 2017년 실시한 '빙판길 제동거리 실험'에 따르면 시속 50km 주행 시 제동거리(브레이크를 밟아 정지할 때까지 거리)는 마른 노면 위를 달릴 때에 비해 승용차는 4.4배, 버스는 7.7배 길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로 위 살얼음은 얇고 투명한 탓에 잘 보이지 않아 운전자가 사전에 대비하기 어려워 사고 위험성이 더 높다. '도로 위 암살자, 살(殺)얼음'라 불리는 까닭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도로 위 살얼음 사고 예방을 위해 ▷겨울철 운행 전 운행경로의 기상상태와 교통상황 확인 ▷주행 시 커브길, 교량, 응달지점 등에서 속도를 평소보다 20~50% 정도 감속 ▷차량 간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 등의 수칙을 지킬 것을 당부했다.

또 살얼음으로 차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핸들을 차가 미끄러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리고,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 밟는 '펌핑 브레이크'로 미끄러짐을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세연 한국교통안전공단 대구경북본부 조교수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지 않아도 지열이나 햇빛이 닿기 어려운 교량, 응달 등을 지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곡선 구간에서 뒷바퀴가 미끄러지는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충분히 차간거리 유지하고 속도를 줄여야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