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대구 출신 고 전태일 열사에 국민훈장

입력 2020-11-12 14:19:16 수정 2020-11-12 21:07:57

전태일 열사 올해 50주기 맞아…노동계 인사에게 첫 무궁화장 추서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고(故) 전태일 열사 훈장 추서식에서 둘째 동생 전순옥 씨 옆의 의장병이 들고 있는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판에 부장을 걸어주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고(故) 전태일 열사 훈장 추서식에서 둘째 동생 전순옥 씨 옆의 의장병이 들고 있는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판에 부장을 걸어주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고(故) 전태일 열사에게 국민훈장을 추서했다.

문 대통령은 전태일 열사의 50주기를 하루 앞둔 이날 그의 동생인 전순옥 전 국회의원과 전태삼·태리 씨를 청와대로 초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했다.

청와대는 "전태일 열사 50주기를 맞아 노동인권 개선 활동을 통해 국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한 고인의 공을 되새기고, 정부의 노동존중사회 실현 의지를 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추서식에서 가족을 잃은 슬픔을 딛고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해 지난 50년간 전태일 열사의 뜻을 이어온 그의 어머니 고 이소선 여사를 비롯한 가족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전태일 열사가 분신한 1970년에 저는 고3이었다"며 "노동운동과 노동자들의 어려운 처지에 대해 처음으로 눈을 뜨고 인식하는 계기가 됐고, 나중에 노동변호사가 됐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태일 재단이 제공한 전태일 평전 초판본 등이 전시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전태일 열사 유가족이 12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전태일 열사 훈장 추서식을 마친 뒤 로비에 전시된 전태일 평전과 태일실업 설립 계획서를 보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전태일 열사 유가족이 12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전태일 열사 훈장 추서식을 마친 뒤 로비에 전시된 전태일 평전과 태일실업 설립 계획서를 보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훈장 중 1등급에 해당하는 무궁화장이 노동계 인사에게 추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지난 3일 국무회의에서 전태일 열사에 대한 국가 차원의 예우가 이뤄지도록 하는 영예수여안을 의결했다. 이는 민주화 유공자들에 대한 예우를 다하겠다는 정부의 노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6·10 민주항쟁 기념식 계기에 '민주주의 발전 유공' 부문을 신설, 고 이한열·박종철·전태일 열사의 부모, 조영래 변호사 등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19명에게 훈·포장과 표창을 수여했다.

이전까지는 고 문익환 목사 등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인물 8명이 개별적으로 사후 추서 등의 형태로 훈장을 받았다.

한편 대구에서는 전태일 열사가 어린 시절 살던 중구 남산동 집을 시민 모금으로 매입해 문패를 다는 행사가 12일 열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