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IT 업계 "성공 가능성 높일 전략 필요"
플랫폼 기업의 수수료 갑질을 막기 위해 '대구형 공공배달앱' 개발을 추진해온 대구시가 다음 달부터 개발과 운영을 맡길 민간 사업자 공모에 나선다.
공공배달앱을 언택트 시대에 맞는 생활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으로, 내년 7월쯤에는 대구 전역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속도를 낼 방침이다.
대구시는 다음 달부터 대구형 공공배달앱 출시를 위한 사업자 공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대구형 공공배달앱은 민간에서 제작과 운영을 맡고 대구시가 이를 직·간접적으로 보조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모을 공모전도 준비하고 있다"며 "가맹점주, 기업인을 대상으로 한 간담회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구형 공공배달앱은 지난 5월에 열린 제2차 코로나19 비상경제 대책 회의에서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을 해소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추진됐다.
당시에는 올해 하반기에 공모가 시작되고 내년 초에는 출시될 거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 추진 계획을 보고받은 홍의락 경제부시장이 신중한 접근을 주문하면서 관련 절차들이 미뤄졌다.
수개월 간의 고민 끝에 배달 앱 출시로 방향을 튼 대구시는 대구형 공공배달앱을 언택트 시대에 맞는 생활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음식 배달용으로만 사용되는 형태가 아니라 예약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구사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IT 업계를 중심으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한 IT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서비스가 출시되더라도 충성도 높은 고객들 잘 움직이지 않는다"라며 "할인 쿠폰 등 일시적 이벤트에는 한계가 있다. 고객 연속성을 뒷받침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운백 대구시 경제국장은 "누구도 장담하기 어려운 시장이지만 시도해볼 만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목표는 시장 점유율 25%로 독점에 따른 부작용을 막는 데 있다. 지금부터는 경쟁력을 갖춘 민간 업체를 선정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