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엑스코선 건설, 경제성도 부족한 점 없다

입력 2020-10-24 05:00:00

대구시의 중점 현안인 도시철도 엑스코선 건설을 결정할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마무리를 앞두고 대구시가 엑스코선 건설의 당위성을 정부에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26일 국정감사가 종료되면 곧바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주관하는 2차 점검회의가 열리고 먼저 경제성 평가(B/C·비용 대비 편익 분석)부터 공개될 예정이어서 엑스코선 건설 결정 여부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올해 내로 엑스코선 예비타당성조사가 마무리되면 2021년부터 2년간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실시하고, 2022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공사를 진행한다는 로드맵을 내놓고 있다. 그 첫 관문이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라는 점에서 경제성과 정책성, 지역 균형 평가로 이뤄지는 이번 조사에 대한 240만 대구 시민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클 수밖에 없다.

주목할 대목은 엑스코선 예정 노선(수성구민운동장역~이시아폴리스 12.4㎞)을 따라 약 6만 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건설 사업이 이미 승인됐고, K2 이전에 따른 신도시 건설 예정지와의 거리도 불과 2~3㎞밖에 되지 않아 앞으로 엑스코선의 교통 수요가 충분하다는 점이다. 게다가 완공을 앞둔 엑스코 제2전시장을 포함한 종합유통단지와 금호워터폴리스 등이 역세권을 이루게 돼 경제성 부문에서 조금도 부족한 점이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엑스코선은 대구 입장에서 막대한 비중을 가진 사회 인프라다. 도시철도 1·2·3호선과 시내버스를 긴밀히 연계하는 대중교통 환승 체계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런 대구 시민의 기대와 희망을 충분히 감안해 바른 정책 결정을 해야 한다. 만에 하나 정부가 경제성만을 이유로 지방 도시 사회 인프라 구축을 등한시하거나 외면한다면 지역 균형발전은 점점 더 멀어질 수밖에 없고 지방 소멸을 부추기는 악수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정부 예비타당성조사도 이제는 단순히 현재 시점의 환경과 여건에만 초점을 두는 평면적인 평가를 벗어나야 한다. 정책성과 인구구조의 변화, 미래가치 등을 충분히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정부는 지방 거점도시의 이런 어려운 상황과 현실적인 한계를 충분히 고려해 이번 엑스코선 타당성조사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