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은 전남 목포에서 90대 노인이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사망했다고 21일 저녁 밝혔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현재 독감 백신 접종 후 모두 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상황이다.
(내용 추가)이어 이날 저녁 10번째 사망자가 경북 안동에서 발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관련 내용은 매일신문에서 단독 보도했다.
'[단독] 안동서 10번째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자 발생' 기사를 검색하면 된다.
▶이날 전라남도 보건당국에 따르면 어제인 20일 오전 9시쯤 목포 소재 한 병원에서 독감 백신 주사를 맞은 90대 여성이 귀가 후 밤 12시 30분쯤 숨졌다.
사망자는 심장질환 등의 기저질환을 앓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보건당국은 역학 조사관을 파견해 사망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해당 병원에서 같은 날 같은 백신을 접종한 204명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뤄졌으며, 모두 이상 반응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대구에서 발생한 78세 남성 사망자의 경우 사인이 질식인 것으로 21일 오후 밝혀지기도 했다.
해당 사망자는 어제인 20일 정오쯤 동네 의원에서 독감 백신을 접종하고 점심 식사 중 이상 증상을 보여 병원으로 옮겨졌다가 21일 0시 5분쯤 숨졌다. 이어 당일 오후에 사망 원인이 질식사로 판정이 난 것.
아울러 이 사망자도 파킨슨병과 만성폐쇄성폐질환, 부정맥 심방세동 등 기저질환을 앓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남 90대 노인 사망 사례를 포함한 나머지 사례들에 대해서는 독감 백신 접종과 사망의 직접적 인과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이 중 1건 사례에 대해서는 독감 백신 접종 후 중증 부작용의 하나인 아나필락시스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의 언급이 나온 바 있다.(2건 사례가 의심됐으나 이 가운데 대구 사망자의 사인이 질식사로 밝혀지면서 제외) 아나필락시스 여부에 대한 판정도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는 항원 및 항체 면역 반응이 원인이 돼 발생하는 급격한 전신 반응을 뜻한다.
이 밖의 독감 백신 접종 후 부작용으로는, 공식적으로 가장 최근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로 알려져 있는, 2010년 65세 여성이 진단 받은 '밀러-피셔 증후군'(Miller-Fisher syndrome)이 있다. 이 밖에 '길랑-바레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과 '눈호흡증후군'(Oculo-Respiratory syndrome)도 꼽힌다.

아울러 현재 보건당국은 독감 백신 예방 접종 사업을 중단할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입장 역시 유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