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의원은 아들이 공동저자로 등재된 연구물이 '부당한 저자 표시'라는 서울대 자체 조사 결과에 대해 해명에 나섰다.
나 전 의원은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포스터는 주저자로서 적격성이 확실히 인정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면서도 "다만 제4저자로 올린 것 포스터는 연구에 참여한 것은 데이터 검증 등을 돕긴 했으나 저자로 포함될 정도로 기여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게 서울대연구진실성위원회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회 교육위원회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 결정문에 따르면, 서울대는 아들이 제4저자로 표기된 '비실험실 환경에서 심폐건강의 측정에 대한 예비적 연구'가 '부당한 저자 표시'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서 의원은 "'엄마 찬스'가 아니었다면 나 전 의원 아들이 서울대 연구실에서 실험할 수 없었던 것은 물론 연구물에 부당하게 공동저자로 표기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서울대 시설 사적 사용의 부당성에 대한 추가 조사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나 전 의원은 "가장 논란이 됐던 제1저자 포스터에 대해 적격성을 인정한 부분이 서울대 측 결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며 "그런데도 어제 하루종일 '나경원' '서울대' '부탁' 세 단어로 혼이 났다"고 했다.
나 전 의원은 아들이 도움 받은 지난 2014년은 서울시장 출마로 의원직을 사퇴한 지 30개월이 다 돼가는 일반인이었다고 한다. 그는 "그 때 직원 열 명 남짓의 스페셜올림픽코리아 활동에 매진했다. 직원들은 제가 정치에 멀어진 지 오래돼 '끈 떨어진 사람'된 것 아니냐며 걱정하기도 했다"며 "그게 2014년 나경원 모습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시 제 아들은 고등학교 1학년이었고 5월말~6월 초쯤 여름방학을 맞아 한국에 잠시 들어왔다"며 "어렸을 때부터 과학에 유독 관심이 많던 아이가 과학경진대회에 한 번 도전해보겠다고 말하더라. 엄마로서 뭘 도와주면 좋겠느냐고 물었다"고 했다.
이에 나 전 의원의 아들은 "지도 선생님이 없어서"라고 답했다고 한다. 나 전 의원은 이어 "뭐라도 도와주고 싶은 엄마의 마음에 이리저리 궁리를 하다 지인을 통해 도움을 받게 됐다"며 "정치인이기 전에 엄마인 저는 그저 뭐라도 해주고 싶었다. 엄마의 마음으로, 엄마의 역할을 해주고 싶었던 것"이라고 했다.
그는 "현직 의원 신분으로 보좌관을 시켜서 무리한 부탁을 관철시킨 것도 아니었다. 총장이나 학장한테 연락을 해서 아래로 압력을 가한 것도 아니었다"며 "하지도 않은 연구의 주저자로 이름을 올리게 조작하지도 않았고, 다른 사람이 한 연구에 부정하게 편승한 것도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아들을 도와주고 싶은 마음, 지인의 배려, 그리고 아들의 성실한 연구. 이것이 진실의 모든 것"이라며 "그 외의 어떠한 공격과 비난도 결코 진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