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9월 취업자 수가 40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01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2천명 감소했다.
이는 지난 5월(-39만2천명)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취업자 수는 지난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 8월(-27만4천명)에 이어 7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폭은 지난 5월부터 축소되는 모습이었으나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지난달 다시 늘어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8월에는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는데 9월에 많이 반영돼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 도소매 등을 중심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28만4천명), 20대(-19만8천명), 40대(-17만6천명), 50대(-13만3천명)는 모두 감소했다. 유일하게 60세 이상만 취업자가 41만9천명 늘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2만5천명), 도·소매업(-20만7천명), 교육서비스업(-15만1천명) 등에서 줄었다.
반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3만5천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10만6천명), 건설업(5만5천명) 등에서는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24만9천명 줄었고 비임금근로자가 13만9천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9만6천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30만3천명)와 일용근로자(-4만1천명)가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3%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줄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12년 9월(60.2%) 이후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7%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4년 9월(65.9%) 이후 최저다.
실업자는 100만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6천명 늘었다. 5월(13만3천명)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실업률은 3.6%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81만7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3만2천명 늘었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41만3천명으로, 9월 기준으로 2003년 통계 개편 이래 최대였다.
'쉬었음' 인구는 20대(8만3천명↑), 30대(6만6천명↑), 40대(5만명↑), 60세 이상(5만1천명↑) 등 전 연령층에서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64만5천명으로 11만3천명 늘었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7%포인트 상승한 13.5%였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4.3%포인트 오른 25.4%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