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靑, 라임·옵티 의혹 검찰수사 적극 협조하라"

입력 2020-10-14 14:31:19 수정 2020-10-14 18:21:35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라임·옵티머스 사태에 대해 '적극 수사 협조' 지시를 함에 따라 향후 검찰수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라임·옵티머스 사태와 관련, "빠른 의혹 해소를 위해 청와대는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라. 검찰의 엄정한 수사에 어느 것도 성역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청와대는 이에 따라 이강세 전 스타모빌리티 대표의 청와대 출입기록을 검찰이 요구할 경우 검토를 거친 뒤 제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그러나 "검찰이 요청했다는 폐쇄회로(CC)TV 자료는 존속기한이 지나 없다"고 말했다.

김봉현(라임자산운용의 실질적 돈주)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지난 8일 이강세 전 대표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해 7월 이 전 대표가 '내일 청와대 수석을 만나기로 했는데 비용이 필요하다'고 했다. 5만원짜리 다발을 쇼핑백에 담아 5천만원을 넘겨줬다"고 진술해 파문을 일으켰다.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에 대해 "이 전 대표를 (지난해 7월) 28일 청와대에서 20여 분 동안 만난 것 같다"면서 만난 사실은 인정하지만 돈을 받은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 또 김 전 회장을 위증, 명예훼손 등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소하고, 김 전 회장의 증언을 보도한 일부 언론사에 대해서도 서울중앙지법에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문재인 정권 최악의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확산하고 있는 라임·옵티머스 사태를 놓고 여야 간 신경전도 심화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를 '권력형 비리게이트'로 규정하고 특별검사 도입을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3일 "지금 검찰에 수사를 맡겨서는 엄정하고 철저한 수사가 될 수 없다. 민주당은 조속히 특검을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또 지난 7월 출범한 '사모펀드 비리방지 및 피해구제 특별위'를 '라임·옵티머스 권력형 비리게이트 특위'로 확대 편성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국회 정무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등 각 상임위 국감장에서도 관련 질의를 이어갔다. 정무위 야당 의원들은 라임·옵티머스 모두 청와대 민정수석실 인사들이 연루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금융감독원의 감독 기능 부실을 비판했고, 과방위 야당 의원들은 방송통신발전기금 및 정보통신진흥기금 748억원이 옵티머스자산운용을 통해 투자된 점에 초점에 맞췄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시중에 카더라 통신을 인용하는 그 수준이다. 대통령을 흔들고 정부를 흠집 내고 여당을 공격하면 야당 지도자가 된다는 것은 얕은 정치이고 야당의 나쁜 정치만 심화시킬 뿐이다"라면서 필사적인 방어에 나섰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