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전문가 "북한 신형 이동식 ICBM 세계 최대급"

입력 2020-10-11 15:42:22

심야 열병식으로 극적 연출 효과 노려

북한이 10일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이동식 ICBM 중 세계 최대급이라고 일본 전문가는 분석했다.

군사전문가인 고이즈미 유(小泉悠) 도쿄대 첨단과학기술연구센터 특임조교는 북한의 신형 ICBM에 대해 "예전에 미국이나 소련이 만든 초대형 ICBM과 크기는 거의 같은 정도로 보이며 세계 최대급 이동식 ICBM이라고 해도 틀림없다"고 11일 보도된 NHK와의 인터뷰에서 의견을 밝혔다.

그는 "그간 불가능했던 복수 탄두 탑재가 가능한 타입"일 가능성이 있다면서 "복수의 탄두를 실은 신형 미사일이 발사되는 경우 요격하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은 미국에 대해 일정한 핵 억지력을 가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아니겠냐"고 분석했다.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미 본토를 겨냥할 수 있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공개했다. 신형 ICBM은 화성-15형보다 미사일 길이가 길어지고 직경도 굵어졌다. 바퀴 22개가 달린 이동식발사대(TEL)가 신형 ICBM을 싣고 등장했다. 노동신문은 위 사진을 포함해 신형 ICBM 사진을 약 10장 실었다. 연합뉴스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미 본토를 겨냥할 수 있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공개했다. 신형 ICBM은 화성-15형보다 미사일 길이가 길어지고 직경도 굵어졌다. 바퀴 22개가 달린 이동식발사대(TEL)가 신형 ICBM을 싣고 등장했다. 노동신문은 위 사진을 포함해 신형 ICBM 사진을 약 10장 실었다. 연합뉴스

고이즈미 특임조교는 무기로서의 요건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발사실험에 북한지 실제로 나설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이 공개한 '북극성-4A'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대해서는 "종래의 SLBM보다 짧아졌으며 상당한 사정을 지니면서 잠수함에 들어가는 크기가 됐다. 북한은 미사일을 많이 탑재할 수 있는 본격적인 잠수함을 만들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전차나 로켓포 등의 무기도 근대화했다면서 "북한은 미국과의 대화를 위해 2018년 이후 ICBM 등의 발사를 자제했으나 그사이에 한국을 타격할 무기에 관해서도 주력했다는 것이 판명됐다"고 덧붙였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이번에 공개된 신형 ICBM의 사거리가 약 1만3천㎞로 추정되는 화성-15형보다 길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발사대도 외관이 달라진 점에 비춰볼 때 성능을 향상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한편 아사히(朝日)신문은 심야에 열병식이 열린 것에 관해 "극적인 연출이나 효과를 노렸을 가능성이 있는 외에 미국의 정찰 위성에 의한 정보 수집을 경계했다는 시각도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야간에 열병식을 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라며 "조명을 많이 사용해 연출 효과를 노린 것과 더불어 동원한 병력의 규모 등 전체 모습이 미국과 한국에 사전 포착되는 것을 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