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노선 작년 2만여명 이용…야외 노출 간이정류장서 탑승
道, 수익 불투명 선뜻 못나서…"필요성 공감, 논의 해보겠다"
경북도청 신도시 입주가 본격화한 지 5년이 다됐지만 버스터미널의 부재로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도청과 경찰청 등 주요 행정기관이 밀집한 도청 신도시인 만큼 대중교통 이용 방문객의 첫 인상 역할을 할 버스터미널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도청 신도시 시외버스 이용객은 버스터미널이 없어 간이 정류장을 찾아야 한다. 신도시 경북농협 건물 인근에 있는 정류장에서 서울, 대구 등 주요 도시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대구와 신도청 노선의 경우 2018년 2만1천490명, 지난해 2만3천269명이 이용했다.
문제는 야외에 노출된 간이 정류장에서 승객들은 무더위, 굳은 날씨 등 악조건 속에서 별다른 편의시설도 없이 버스를 기다려야 한다는 점이다. 신도시 첫 방문객 일부가 터미널 건물에 버스가 정차할 것을 예상하다 예천터미널까지 갔다는 웃지 못 할 에피소드도 들린다.
상황이 이렇지만 버스터미널이 언제 조성될지 기약이 없는 상태다. 신도시 2단계 부지에 복합터미널 예정지가 있지만 부지만 정해뒀을 뿐 언제, 어떻게 조성할지 기본계획이 없는 탓이다. 계획 수립 뒤 예산 확보, 사업자 선정, 설계와 공사 등에 최소 3년이 필요할 전망이지만 경북도 등 행정당국은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아직 버스터미널을 조성할 만큼 승객이 많지 않아 터미널 운영으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게 우선 배경으로 꼽힌다. 주민등록인구 2만 명가량의 소규모 도시인 데다 시외버스 주 이용층인 대학생, 고령자 등도 적다는 것이다. 특히 주민 상당수가 자가용을 이용하는 젊은 부부인 점도 하나의 원인이다.
민간 사업자가 버스터미널 운영에 뛰어들지 않으면 공영으로 조성할 수밖에 없고 이 경우 막대한 운영비 투입이 불가피한 점도 부담이다. 이러한 여건 때문에 획기적 전략 수립이 없다면 향후 수년간 도청 신도시가 버스터미널 없는 지역으로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버스터미널의 필요성에는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관계 부서 등과 버스터미널 조성을 논의를 해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