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애도와 위로"…국민의힘 "슬픔마저 저울질"

입력 2020-09-28 18:41:12 수정 2020-09-28 19:56:33

'北 공무원 총격' 사건 공개 석상 첫 언급
"김정은 사과 각별한 의미로 받아"…주호영 "국회 차원 진상조사 필요"
여당 국면전환 시도하려 문 대통령까지 나섰지만 반발만 키워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8일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8일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북한의 우리 국민 학살만행 규탄 긴급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북한군의 총격에 의한 서해상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 "아무리 분단상황이라고 해도 일어나서는 안 될 유감스럽고 불행한 일"이라며 "희생자가 어떻게 북한 해역으로 가게 됐는지 경위와 상관없이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해 공개 석상에서 언급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입장 등을 담은 통지문을 보내온 이후 첫 입장 표명이기도 하다.

하지만 논란은 숙지지 않았다. 오히려 이날 문 대통령의 발언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과에 의미를 두고 있다는 언급이 또 다른 논란에 불을 붙였다.

문 대통령의 "특별히 김정은 위원장이 우리 국민들께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해온 것에 대해 각별한 의미로 받아들입니다"라는 발언 두고 보수진영을 중심으로 북한군의 총격으로 우리 국민이 사망한 시점에서 대통령이 할 말이냐는 반발이 쏟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28일 서해상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 발언에 대해 "국민이 죽었는데 슬픔의 가치마저 저울질하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최형두 원내대변인은 "진정한 사죄나 경위설명도 없는 통지서에 김정은 발언이 있다고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세계 외교안보사에 유례가 없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한편 추석연휴를 앞두고 여야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화두로 국민의 이목을 끌고 명절 민심을 가져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당은 서해상에서 벌어진 대한민국 민간인에 대한 북한군 총격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국민의 생명조차 제대로 지키지 못 한 정부'라는 메시지로 여권에 파상공세를 퍼붓고 있다.

이에 여당은 세계적으로 성과를 인정받은 'K-방역' 관련 이벤트로 맞섰지만 여의치 않은 분위기다.

주호영 원내대표(대구 수성갑)는 "이번 사건은 경위도 의문투성이일 뿐 아니라 남과 북의 말이 모두 달라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며 "국정조사와 국정감사에서라도 끝까지 추궁하겠다"고 압박수위를 높였다.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 교환, 국가정보원의 통일전선부 통지문 수령 등이 가능했다면 그 채널로 실종 공무원부터 구했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나아가 여권이 대정부 긴급현안질의와 대북 규탄 결의안 채택 중 하나는 반드시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이낙연 대표가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방문해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 상황 등을 점검하는 것으로 국면전환을 시도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