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상동 등 상습 침수지역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입력 2020-09-28 16:03:11

대구시 상동, 문경시 모전동·점촌동, 영덕군 축산면 등 지정

지난 3일 제9호 태풍
지난 3일 제9호 태풍 '마이삭'에 이어 7일 제10호 태풍 '하이선' 영향으로 경북 영덕군 강구면 강구항 일대가 대형 파도가 밀려들면서 침수 피해가 났다. 8일 강구항 해파랑공원 흙이 움푹 파여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는 하수도 용량 부족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구시 상동 일대 등 상습 침수지역 16곳을 '2020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정해 29일 공고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되는 지역은 대구시 상동, 문경시 모전동·점촌동, 영덕군 축산면 등 16곳이다.

이들 지역에는 2026년까지 총사업비 3천991억 원(국고 2천460억 원)을 투입해 우수관 84㎞를 개량하고 빗물펌프장 9곳을 신·증설하는 등 하수도 시설을 집중적으로 확충해 침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하수도법에 따라 매년 하수의 범람으로 침수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한 지역을 지정하고 하수도 확충사업에 국비(30∼70%)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88곳이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됐고, 올해까지 국고에서 1조 1천149억 원이 투입됐다. 하수도 확충 사업이 완료된 지역은 30곳이며 해당 지역에는 침수 피해가 재발한 사례가 없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올해는 장마와 같은 국지성 집중 호우에 대비하기 위해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을 확대한다.

그동안 매년 10∼12곳 수준으로 지정했으나 장마철 침수지역 등을 대상으로 2차 수요조사를 벌여 중점관리지역을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