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4차 추가경정예산에 반영된 2차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지급 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 새희망자금과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아동특별돌봄, 청년특별구직지원 등 6조3천억원에 이르는 자금이 1천23만 명에게 추석 연휴 전 지급될 예정이다. 사실상 전액 적자국채 발행으로 충당되는 추경 7조8천억원 대부분이 재난지원금으로 투입된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추석 연휴 전 지급'을 서두른 탓에 심사 및 선별 기준 등을 주먹구구식으로 정하면서 현장에선 혼란과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지원 대상에서 빠진 사람들이나 업종 관계자들은 "지급 기준이 뭐냐"며 명확하지 않은 정부 지급 기준에 불만을 터트린다. 중학생 돌봄비는 주면서 고등학생은 왜 안 주는지, 30∼34세에게는 통신비를 주면서 60∼64세에게는 안 주는 이유나 근거가 불명확하다고 따지고 있다. 애초 없던 지출 항목이 추가된 것도 문제다. 원칙과 충분한 심사 없이 여야가 어정쩡하게 조정하다 보니 맞춤형 지원 취지가 퇴색하고 말았다.
여당과 정부가 추석 연휴 전 지급에 목을 맨 것은 정치적 고려가 개입됐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다. 추석 연휴 전 현금을 뿌려 추석 밥상머리에서 터져 나올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군 특혜 의혹에 따른 정권 비판 민심을 무마하려는 포석이 깔렸을 것이다. 4차 추경이 통과도 안 된 상태에서 정부는 재난지원금 입금 계좌를 확인하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까지 했다. 지난 4월 총선에서 재난지원금으로 톡톡히 재미를 본 것을 되풀이하고 싶었을 것이다.
코로나로 타격을 받은 취약계층을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나무랄 일이 아니다. 하지만 전액 나랏빚으로 충당해야 하는 만큼 국고 형편을 따져 재정지출의 필요성과 효과를 보다 정교하게 살피는 게 당연한 일이었다. 명절을 앞두고 이웃 주민들에게 떡 나눠주듯 재정을 물 쓰듯 쓴 대가는 재정 건전성 악화란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다. '추미애 사태'로 악화한 민심을 대통령 결단으로 풀지 않고 현금 뿌리기로 모면하려는 정권의 술수가 너무도 얄팍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