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성수기에는 사과·배·한우 가격 더오를듯
지난달 한국의 식품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았다.
역대 최장기간 장마 이후 태풍까지 오면서 배추, 고구마, 호박, 깻잎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고, 수확철에 장마를 맞는 바람에 고구마 물가는 1990년 1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16일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8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이하 식품) 물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발표한 OECD 22개 회원국 가운데 헝가리(7.9%), 멕시코(7.5%) 다음으로 높다. 한국 다음으로는 칠레(6.3%), 아이슬란드(6.1%), 미국(4.6%) 순이었다. 아일랜드는 물가 상승률이 -1.8%로 22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지난해 8월만 해도 한국 식품물가는 1년 전보다 3.3% 하락, OECD 전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이 떨어졌다. 8월 이후 11월까지 물가상승률이 내리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12월에 플러스로 올라섰고 올해 5월(2.4%), 6월(3.3%), 7월(4.3%), 8월(6.6%)에는 상승률이 점점 커졌다.
특히 8월이 수확시기인 고구마와 호박이 두드러지게 많이 올랐다.
지난달 고구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6.9%였는데 이는 1990년 11월(57.0%) 이후 약 21년 만에 최고치다. 호박은 55.4% 올랐고 깻잎은 2010년 9월(55.6%) 이후 약 10년 만에 최고 상승률인 43.5%를 나타냈다.
이밖에 토마토(45.4%), 양파(54.2%), 무(47.9%)도 많이 올랐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채소와 과일 등의 가격을 더 오를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0년 추석 성수기 주요 농축산물의 출하 및 가격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추석 성수기(17~30일) 농산물 출하량이 감소할 전망이다.
사과와 배, 한우 등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봄에는 냉해로 과수 생산에 차질이 발생한데다, 여름에는 역대 최장기간 장마와 태풍까지 맞아 출하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사과의 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8% 감소한 5만7천t 내외로 추산됐다. 출하량 감소로 홍로사과 상품 기준 5㎏ 한상자당 평균 도매가격은 56.1% 뛴 3만6천∼4만원으로 예측됐다.
배는 지난해보다 출하량이 5.1% 적은 5만4천t에 그쳐 추석 성수기 신고배 상품 7.5㎏ 한상자당 도매가격은 34.2% 뛴 3만∼3만3천원으로 관측됐다.
또 추석 성수기인 9월 29일까지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 같은 기간(1만8천280원) 대비 약 10% 상승한 2만원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