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秋 입장문에 "검찰개혁이 토템이거나 면죄부가 된 느낌"

입력 2020-09-14 07:35:52 수정 2020-09-14 09:02:08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최인아 책방에서 열린 경제사회연구원 세미나에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최인아 책방에서 열린 경제사회연구원 세미나에서 '한국사회를 말한다 : 이념·세대·문화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아들 군 특혜 의혹에 대해 송구하다면서도 검찰개혁을 완수해내겠다는 입장문을 두고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검찰개혁이 대깨문 종족의 토템이거나 문재인 교황청에서 발급하는 면죄부 같은 느낌"이라고 비꼬았다.

진 전 교수는 13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나도 그거 하나 사둬야겠다. 그것만 붙이고 다니게"라며 이같이 적었다. 그러면서 진 전 교수는 "그것만 있으면 뭔 짓을 해도 욕 먹을 일이 없다. 다 용서가 되니까"라고 했다.

추 장관이 아들의 군 특혜 의혹에 처음으로 자신의 입장문을 통해 유감의 뜻을 밝힌 후 대부분 잘못한 게 없다는 취지의 글을 쓰자, 진 전 교수는 이에 대해 비판하며 세 가지의 해명이 빠졌다고 지적했다.

진 전 교수는 입장문에 첫째, 추 장관의 전 보좌관이 군 부대에 전화해 병가 연장을 요청했다는 의혹이 해명에서 빠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보좌관에게 아들의 뒤치다꺼리 시킨 건 공적 자원의 사적 유용에 해당한다"며 "이 부분에 대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두 번째로 진 전 교수는 "국방부 민원실에 왜 전화를 했는지도 말씀하셨어야 한다"며 "아드님은 성인이고 산소호흡기를 끼고 중환자실에 누워 있었던 것도 아니다"고 했다.

세 번째로는 "통역관 선발에 둘러싼 청탁에 관해서는 증인이 최소 세 명이 존재한다"며 "그들이 일관되게 청탁이 있었다고 증언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 전 교수는 "그런데 국방부 장관 정책보좌관이 아드님이 통역관 선발을 원한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았을까"라며 "이에 대한 해명도 필요하다"고 했다.

진 전 교수는 이어 "(추 장관이)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했는데, 도대체 '무엇'으로 심려를 끼쳤다는 말인지 알 수가 없다"며 "사과문을 보면 잘못하신 게 하나도 없거든요"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