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일 '의대생 때리기'…"국시 추가 접수, 쉽게 결정 못해"

입력 2020-09-09 17:20:46 수정 2020-09-09 17:26:50

"의대생 '국시응시' 의사 없어…추가기회 논의 필요성 떨어져"
대구지역 의대 교수들, 국시거부 '철회' 위해 학생 설득나서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둘째날인 9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 한 응시생이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둘째날인 9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 한 응시생이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계의 '의사국가시험 추가 접수' 등 의대생 구제책 마련 요구와 관련, 정부는 "이 부분에 대한 국민의 동의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정부로서도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밝히는 등 연일 단호한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9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가시험은 수많은 직종과 자격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치르고 있기 때문에 국가시험의 추가 접수는 다른 이들에 대한 형평과 공정에 위배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날 브리핑에 이어 '의대생 때리기'는 계속됐다.

이날 손 대변인은 "의대생들은 국시를 스스로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고, 아직 '응시하겠다'는 의견도 공식적으로 받은 바 없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국가시험의 추가 기회를 논의하는 것 자체의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사 국가고시 신청이 마감되고, 시험 일정마저 시작된 가운데 일부 의과대학 학생들이 국시 거부 '철회' 의사를 밝힐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전날 서울대 의대 학생회가 재학생 745명을 대상으로 국가고시 응시 거부 지속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70.5%가 '응시 거부를 지속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의견을 보여 의대생들의 입장변화가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대구에서도 대학별로 교수들이 나서 학생들의 의사국시 응시 의사를 확보하기 위해 설득에 나서고 있다.

박태인 경북대의대 학장은 "내일쯤 학생대표들과 만나서 전체 학생들의 응시 의사에 대한 설문조사 실행을 논의한다"면서 "이를 확인해야 국시원에 재접수를 요청하고, 전국 의대 학장협의회를 통해 정부를 설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민 중 절반 이상은 의사국시 거부자 구제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리얼미터가 지난 8일 전국 18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의대생 구제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52.4%로 나타났다. '찬성'은 32.3%로 '반대'보다 20.1%포인트 낮았다. '잘 모름'은 15.3%였다.

다만 이념 성향별로는 보수층에서는 찬성 49.6%, 반대 35.5%로 구제 찬성 의견이 더 높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