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석 국회의장 "국가적 위기, 여야 단일팀 돼야"

입력 2020-09-01 16:46:15 수정 2020-09-01 22:18:39

21대 첫 정기국회…100일 동안 예산·입법전쟁
7, 8일 교섭단체 대표연설
예결위 추장관 아들 공방…보좌관이 軍에 전화 의혹

21대 첫 정기국회가 막을 올렸다. 여야의원들이 1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 열린 정기국회 개회식에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첫 정기국회가 막을 올렸다. 여야의원들이 1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 열린 정기국회 개회식에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정기국회 개회와 함께 진행될 예정이었던 여야 원내대표 회동이 취소됐다.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이 이날 만남에서 논의할 내용에 대한 사전 공유가 늦었다는 불만을 표출하면서 자리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통합당이 출신 정당인 여당으로 기운 박병석 국회의장의 의회 운영태도를 문제 삼고 있어 여야 원내대표의 대면은 앞으로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후 "오늘 원내대표 회동은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측이 못하겠다고 알려와 취소됐다"며 "이유를 알리진 않았다"고 언론에 공지했다.

애초 박병석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정기국회 개회식이 끝난 뒤 만나 정기국회 운영 방향과 ▷코로나19 극복 경제특별위원회 ▷균형발전특별위원회 △에너지특별위원회 △저출산대책특별위원회 등 4개 특별위원회 구성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회동이 갑작스럽게 취소된 배경에는 법 개정까지도 필요할 수 있는 비대면 회의 안건과 관련해 사전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통합당 측 불만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의장실의 진행이 중립적이지 못한 것 같다"며 "교섭단체가 중심이 돼서 논의해야 하는데 의장실이 법안 초안까지 붙여서 (안을) 해놨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비대면 회의 안건의 경우 국회 운영(본회의 표결처리)과 관련한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 국회의장이 객관적인 위치에서 여야의 법안논의를 조율해야 하는데 논의 출발단계부터 입법부 수장이 여당 편을 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국회 관계자는 "지난 회동에서 여야 모두 사전에 의제를 알았으면 좋겠다고 해서 해외 사례 등 설명 자료를 여야 모두에게 보낸 것"이라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