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점 재논의 명문화" vs "정원 확대 이미 정책 중단"

입력 2020-09-01 16:37:10 수정 2020-09-01 21:14:06

전공의·전임의·의대생 '젊은의사 비대위' 출범 "복귀 위한 합의문서 필요"
정부, 한방첩약 시범사업 및 공공의대 신설 철회는 "정부 권한 벗어난 것"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서울특별시의사회에서 열린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서울특별시의사회에서 열린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 양상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한 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협의를 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지만, 전공의들은 '정책 철회' '원점 재논의' 등을 명문화할 것을 복귀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일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의대 정원 확대 철회 요구와 관련해 "정부는 이미 어떠한 조건도 걸지 않고 교육부 정원 통보 등 의사 수 확대 정책의 추진을 중단해 둔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한방첩약 시범사업 및 공공의대 신설 등을 철회하라는 전공의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서는 '정부 권한을 벗어난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날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에서 "환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네 가지 악법을 부디 철회하고 원점으로부터 재검토해달라"고 밝혔다.

전공의, 전임의, 의대생 등이 연대한 젊은의사 비대위는 정부 합의문에 반드시 '원점 재논의'가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이런 일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부를) 믿고 현장으로 돌아가 환자를 보기 위한 약속된 문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