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로 경제성장' 호주, 코로나19로 시련 맞는다

입력 2020-08-10 15:19:14

내년 이민자 올해 20% 수준 감소할 듯
인구증가 60%가 이민…경기침체 속 유학산업도 휘청

이민자에 의존해 지난 28년간 '침체 없는 경제성장'을 누려온 호주가 올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탓에 큰 타격을 받게 됐다.

9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외국에 거주하는 국적자나 영주권자의 귀국만을 허용해 내년 6월까지인 2021년 회계연도 내 순이민자가 3만6천명에 그칠 것이라고 최근 발표했다. 3만6천명은 지난 6월 30일까지였던 2020년 회계연도 순이민자 전망치 16만8천명의 21%, 2019년 회계연도 순이민자 23만9천600명의 15% 수준이다.

모리슨 총리가 밝힌 대로 순 이민자 수가 줄면 2021년 회계연도 호주 인구성장률은 0.7%로 1917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코로나19 대유행 때문에 외국인 입국 제한 조치 여파에 따른 결과이다. 호주의 인구는 약 2천550만명으로 2019년 인구성장률은 1.4%였다.

문제는 호주가 경제성장의 상당 부분을 이민에 의존해왔다는 점이다. 호주 인구 증가의 60%는 이민에 따른 것으로 '이민자의 나라'로 꼽히는 미국보다 비중이 높다. 이민자 증가는 노동 인구를 늘리고 학교나 병원 등에 대한 투자를 일으키고 집값 상승을 이끌기도 했다.

또 호주 순 이민자 가운데 약 60%를 차지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간 200억달러(약 23조원) 규모의 유학 산업은 호주의 4번째로 큰 수출 산업이다. 톰 케네디 호주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유학생 감소가 경제에 끼친 악영향은 학기가 종료된 뒤에 더 심해질 수 있다"면서 "학업을 마친 유학생들이 호주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부 경제분석가는 내년 호주 집값이 수요 감소에 따라 10~20% 하락해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주택 수요가 19만채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멜버른과 시드니 교외에 불었던 '아파트붐'이 사그라지면 건설 경기가 침체할 수 있다.

케네디 이코노미스트는 "2020년 회계연도에 이민이 호주 GDP 성장률에 기여하는 수준은 0.5%포인트로 지난 5년 평균 1%포인트보다 낮을 것"이라면서 "의미를 부여할만한 하락 폭"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