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中 홍콩보안법 강행 따른 전방위 '응징' 나설 듯
홍콩 '금융허브 지위' 상실시 본토 중국도 큰 타격

미국이 중국의 홍콩보안법 강행에 대해 '고강도 응징'을 예고한 가운데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할 것으로 보여 미·중 간 신(新)냉전이 일촉즉발의 극한 충돌로 치달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강행과 관련, 기자회견을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홍콩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에 대한 우대 관세율을 중지하는 등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한다고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우대 관세율이 중지되면 홍콩산 제품에 대해 중국 본토에서 수출하는 것과 같이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등 아시아 금융허브로서 홍콩의 위상이 흔들릴 수밖에 없고 이는 중국의 타격으로 이어지게 된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와 비자 제한, 그 외 경제적 징벌 조치 등을 취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 관리와 정부, 기업에 대한 제재 및 비자 관련 제재 등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28일(현지시간) CNBC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이 큰 실수를 저질렀다면서 "필요하면 홍콩은 중국과 같은 방식으로 대우받아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홍콩이 중국으로부터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홍콩이 받던 대우가 계속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전날 의회에 보고했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에 따라 홍콩의 중국 반환 이후에도 홍콩에 특별지위를 인정해 관세, 무역, 비자 등에서 혜택을 부여했지만, 대통령 행정명령으로 이를 박탈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은 홍콩보안법 초안을 통과시킨 후 법제화를 위한 후속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어 이르면 8월에 시행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편, 홍콩 경제계는 홍콩의 특별지위가 박탈될 경우 그 후폭풍에 대한 걱정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관세, 화폐 태환, 비자 발급, 문화·교육 교류 등의 분야에서 홍콩이 누렸던 혜택이 사라지면 미국 등 서방 기업이 지역 본부를 싱가포르 등 다른 곳으로 옮길 것으로 우려하며 홍콩의 수출 기업도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다.
홍콩은 아시아 지역에서 다국적 기업의 거점 역할을 하는 지역본부가 가장 많은 도시로, 현재 1천541개의 다국적 기업이 홍콩에 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홍콩에 진출한 미국 기업은 1천300여 개이며, 홍콩에 지역 본부를 둔 미국 기업도 278개에 달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