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농촌 인력난 해소 위해 국내 체류 외국인 활용
정부는 22일 코로나19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화훼 및 친환경농산물 재배농가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 수산물 소비와 수출회복을 지원하는 한편 농촌 인력난 해소를 위해 인력 중개를 확대할 방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열어 이 같이 결정했다.
먼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유통채널 확산에 대비해 농가들이 적극적으로 온라인 유통채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를 지원할 예정이다. 온라인 채널별 특성을 감안해 농산물 입점을 지원하고 대대적인 판촉 기획전도 개최한다.
아울러 홈쇼핑 정규프로그램을 편성해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할 방침이다. 농업인의 온라인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해선 모바일 쇼핑몰 및 콘텐츠 제작, 컨설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앞서 화훼소비 활성화를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이 앞장서 화훼 구매를 추진하고, 민간의 소비 확산을 유도해왔다. 지난 21일 기준으로 공동구매, 할인 판촉 등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총 1천531톤에 대해 대체판로를 지원했다.
수산물 소비와 수출 회복을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수산물 소비는 외식수요 감소 등 영향으로 둔화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등 수출시장의 침체로 수출액이 전년대비 8.0% 감소한 상황이다. 올들어 지난 14일까지 전년 6억5천만 달러에서 5억9천만 달러로 6천만 달러가 줄었다.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대규모 소비붐업 행사를 추진해 소비심리 회복을 촉진하고, 수출업계의 온라인 상담 지원 등 현지 시장에 대한 맞춤형 판로개척을 지원하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온라인 구매경험 확산 등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온라인 유통물류 시스템 확충, 온라인 무역상담 등 비대면 거래 기반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그동안 비대면 중심 소비촉진 행사와 온라인 거래 활성화, 우수 수산물 수출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 무역 애로 해소 등에 집중해 왔다.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둔 가운데 농촌 지역 인력난 해소를 위해선 필요한 인력이 적기에 공급되도록 인력중개 확대와 계절근로자 대체인력 확보에 나선다.
계절근로자 입국 지연 및 농촌 봉사활동 축소로 일손 부족이 예상되는 22개 시군의 농촌인력중개센터를 기존 70개에서 92곳으로 늘리고, 전담인력 운영과 근로자를 위한 교통비 및 숙식비 등을 제공한다.
또 방문동거(F-1) 외국인, 사업장 변경을 희망하는 고용허가제(E-9) 외국인근로자 등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에게 농업분야 근로를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연결해주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