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총선 투표율 전국 최하위 오명 벗을까?

입력 2020-04-14 17:33:29 수정 2020-04-14 17:50:47

사전투표율 이어 바닥권일 땐 지역 정치역량 약화 불 보듯  

지난 10일 대구의 한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21대 총선 사전투표를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지난 10일 대구의 한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21대 총선 사전투표를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코로나19 탓일까. 내 한 표가 당락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여겨서일까. 4·15 총선에서 대구의 사전투표율이 전국 꼴찌를 기록한 가운데 선거 당일 투표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보수의 심장으로 불리는 대구의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가지 않는 쪽으로 마음을 굳혔다면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구가 건국 이후 한국정치의 리더 역할을 해온 상황에서 '적극적 투표'라는 유권자 의식을 발휘하지 않게 되면 악순환이 거듭하면서 지역 정치역량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게다가 지역구 후보자 판세가 거의 기울어진 지역구라고 하더라도 정당별 비례대표 투표는 한표 한표가 각 정당의 비례대표 당선인 숫자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각 유권자의 표는 결코 사표가 되지 않는다.

대구는 지난 10~11일 치러진 사전투표에서 23.56%로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전국 평균은 26.69%였고, 진보의 본거지인 전남이 35.77%로 1위를 기록했다. 다만 대구 8개 구·군 가운데 수성구(29.08%)와 중구(28.31%)만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수성갑 선거구는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주호영 미래통합당 후보가 맞붙으면서 전국적 관심을 끌고 있는 격전지다.

대구는 역대 대선에선 뜨거운 참여 열기를 보인 반면 총선이나 지방선거 때는 저조한 투표율에 머물곤 했다. 보수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그만큼 한 표의 기대치나 효용감은 낮아질 수밖에 없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이념 대결과 더불어 경제난을 둘러싼 책임 공방 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참여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게 절실한 상황이다.

이승근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구의 사전투표율이 낮았던 데는 역설적으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보여준 정부의 정책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진보진영의 결집 여부에 따라 본 투표에서 보수진영의 민심이 폭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