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방역 노력 물거품되지 않게 ‘사회적 거리두기’로 고비 넘자

입력 2020-04-14 06:30:00

13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모두 1만537명이다. 전날과 비교해 신규 확진자가 25명 늘었고 사망자도 3명 증가했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에 따르면 전체 확진자의 70.7%가 격리 해제돼 총 7천447명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열 명 중 일곱 명이 회복해 일상으로 돌아간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정부와 국민이 한마음으로 코로나 방역에 안간힘을 쓴 결과 조금씩 희망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다. 13일 지역별 신규 확진자 수를 보면 대구가 3명, 경북 4명, 서울 8명, 경기도 3명, 인천 1명 등 5개 지역 외에 다른 지역은 확진자가 없었다. 연일 확진자와 사망자가 쏟아지는 미국과 유럽, 일본 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생긴 것이다. 하지만 대책본부가 밝힌 대로 신규 확진자 25명 중 16명이 해외에서 유입된 사례라는 점, 지역사회 감염을 완전히 털어내지 못한 점 등 불씨는 여전하다.

정부는 당초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5일까지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으로 정했다. 그러나 확진자 증가세가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자 기간을 19일까지로 2주 더 연장했다. 이는 국민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방역 강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부득이한 조치로 지금이 코로나 기세를 완전히 꺾을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본 것이다.

한 달 넘게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국민 불편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 고비를 넘지 못하고 경계를 늦춘다면 그동안 어렵게 억제해온 방역 노력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꼭 필요한 경제 활동은 제외하고 가급적 대면 접촉을 자제한다면 정부가 구상 중인 일상·경제생활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지금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희생자가 11만 명이 넘는 등 매우 어려운 시기다. 이런 절박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려면 개인위생 준수와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로 감염을 막는 것밖에 달리 해법이 없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