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시 방역 정책 전환의 실효성을 기대한다

입력 2020-04-09 06:30:00

대구시가 '시민이 함께하고, 재유행에 대비하며, 경제 회생을 위한' 새로운 방역 정책 추진 방침을 밝혔다. 대구시는 먼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일정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맞춰 방역의 주된 방향을 '당국 주도형'에서 '시민 참여형'으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이다. 나아가 일상에서 공감하고 수용할 수 있는 시민 생활 수칙을 함께 만들고 분야별 세부 예방 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를 위해 '범시민 추진위원회'와 '온라인 네트워크'를 구성해 자발적인 참여와 사회적 연대를 유도할 요량이다. 코로나 재유행에 대비한 이른바 '대구형 방역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감염 차단 및 환자 치료를 위한 다양한 조치와 함께 긴급생계자금 지원 확대 방안도 적극적으로 강구할 예정이다.

대구시가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수호하면서 무너져 가는 지역 경제도 함께 일으켜야 하는 역설적인 과업을 어떻게 수행해 나갈지 주목된다. 현재로서는 다분히 원론적인 얘기뿐이다. 권영진 시장의 담화문 내용에 대한 대구참여연대의 '뜬구름 잡는 안이한 대책'이라는 비판도 그래서 나왔을 것이다.

경제학자인 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은 정부가 방역 정책의 성공 모델로 포장하고 있는 것 또한 엄밀하게 보면 '대구형 방역 모델'이라고 규정한다. 돌이켜보면 정부가 해외로부터 감염원 차단과 국내에서의 사회적 감염 확산 방지에는 실패했듯이, 대구시 또한 신천지발 감염 폭증세 속에서 적잖은 고난을 겪었지만 뒷북 행정 등 부실한 대응도 많았다.

다행히 대구는 '의료진들의 지성과 헌신 그리고 위기에 의연한 시민정신'이란 소중한 자산을 지니고 있다. 대구시가 컨트롤타워 역할만 잘 수행해도 사회적 감염의 조기 종식을 견인하며 명실상부한 '대구형 방역 모델'을 대내외에 과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 현 상황을 면밀히 진단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 다음 강력한 방역 대응을 실현해 주길 기대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