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73개 병원 '간병인'도 코로나19 전수검사…"집단 감염 우려"

입력 2020-03-25 18:13:15

간병인 전수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논란
우선 파악 가능한 간병인부터 검사키로

"그대들은 우리의 영웅들 입니다" 23일 오후 대구동산병원 코로나19 비상대책본부 앞 벽면에 전국 각지에서 보내온 수천 장의 '의료진 응원' 편지들이 가득 붙어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시가 또 다른 코로나19 고위험군 집단으로 분류된 병원 간병인에 대해서도 전수 진단검사를 하기로 했다. 신천지 신도들과 요양병원·사회복지생활시설 등 고위험 집단시설 종사자 및 환자에 이어 세 번째로 이뤄지는 전수 진단검사다.

대구시는 25일 "지역 73개 병원에서 일하는 간병인 2천648명에 대해 코로나19 전수 진단검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우선 이날부터 대학병원을 비롯한 3차 병원 5곳에서 일하는 1천57명에 대한 검사를 하고, 2차 병원 68곳의 간병인 1천591명에 대해서도 병원 측과 협의해 전수조사를 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요양병원 6곳에서 38명의 간병인 확진 사례가 나오는 등 병원 내 간병인 그룹도 잠재적인 집단감염의 우려가 있다는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따른 조치다. 특히 이들 상당수는 여러 병원을 옮겨다니며 일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도 크다.

때문에 일선 간병인들은 전수 진단검사를 요구해 왔지만, 대구시는 요양보호사 등과 달리 간병인은 전수조사 대상에서 제외해 논란이 됐다. 민주노총 의료연대본부는 "간병인들은 오늘은 대학병원, 내일은 요양병원에 가는 식으로 일하는 이들이 많아 방역체계 안에서 관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전수조사가 유효하려면 병원에서 간병인의 이동과 교체에 대한 통제 시스템이 있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병원 측 외에도 환자 개개인과 계약을 맺고 간병을 하는 경우도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없는 상황이다. 의미 있는 전수조사를 위해 전문가들과 협의 중"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그러나 환자와 긴 시간 가까이서 접촉하는 간병인들이 집단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관리 가능한 간병인이라도 우선 전수 진단검사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채홍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우선적으로 대학병원에 대해 전수 진단검사를 하고, 다른 병원에 대해서는 간병인 관리 문제를 보다 세심하게 파악한 뒤 협의를 통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