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방송노조 성명 발표…연합뉴스TV도 부적절 표현 사과


YTN과 연합뉴스TV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보도에 부적절한 표현을 써 내부 반발을 사거나 사과가 이어지고 있다.
YTN 방송노동조합(이하 YTN방송노조)은 23일 "17살 고교생의 죽음, YTN은 무엇이 '다행'이었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지난 19일 '더뉴스'의 강진원 앵커가 17살에 갑자기 생을 마감한 한 고교생의 뉴스를 전하면서 '다행히 (코로나19) 음성 판정이 나왔다'고 전했다"며 "맙소사! 다행이라고? 최근 오보 행진에 참담함을 넘어 절망감까지 느낀다"고 밝혔다. YTN방송노조는 최근 YTN에서 발생한 각종 오보와 왜곡보도를 지적하며 "당기순손실이 난줄도 모른 채 성과급을 뿌리고 회사 곳간을 털어 주주에게 인심을 쓴다고 하여 당신들의 치부가 가려질 거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TV도 부적절한 표현을 한 앵커가 공개 사과하는 일이 있었다. 연합뉴스 TV의 이윤지 아나운서는 지난 19일 코로나19 관련 뉴스특보를 전하던 중 "대구에서 폐렴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던 17세 고교생이 다행히 코로나19에서 최종적으로 음성 판정이 나왔다"고 말했다. 이에 시청자들은 고인을 두고 '다행히'란 표현을 사용한 것은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지적하며 이윤지 아나운서를 비판했고, 연합뉴스 TV측은 이날 공식 홈페이지와 SNS 등을 통해 "앵커가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한 점 시청자 여러분께 사과드린다"고 사과문을 게재했다.
YTN과 연합뉴스가 보도에 부적절한 표현을 쓴 데 대해 네티즌들은 "사람이 죽었는데 '다행'이란 표현이 정말 어울린다고 생각하나"라며 "좀 더 진중한 태도로 보도가 이뤄지지 않은 것에 정말 비통한 마음이 든다"고 비판했다.
다음은 YTN 방송노조가 발표한 성명서 전문
'17살 고교생의 죽음', YTN은 무엇이 "다행"이었나?
이제 더 추락할 곳이 있기나 할까?
YTN의 최근 '오보 행진'에
참담함을 넘어 절망감마저 느낀다.
가장 최근은 지난 19일 '더뉴스'의 강진원 앵커가 주인공이다.
17살에 갑자기 생을 마감한 한 고교생의 뉴스를 전하면서
"다행히 (코로나19) 음성 판정이 나왔다"고 전했다.
맙소사! 다행이라고?
기가 막히기엔 아직 이르다.
YTN은 지난 14일 "마스크를 사려고 줄을 섰던 70대 노인이
버럭 화를 내다가 쓰러져 숨졌다"는 내용을 '단독보도'했다.
몇몇 매체가 기사를 받아 썼다가 함께 망신을 당했다.
지난 2일 돌발영상은
기가 아니라 숨이 막힐 지경이다.
미래통합당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의
코로나19 관련 대화 가운데
"분노에 차 있으니까"라는 말을
"분명한 찬스니까"라고 왜곡했다.
YTN은 "진실과 진심을 전한다"는데
지금 온 동네에서 몰매를 맞고 있다.
그러니 "우리는 그림이 아니라 뉴스를 한다",
"사망선고는 뉴스가 아니라 의사가 내린다"는
미드 '뉴스룸'같은 고급스러움은 기대도 안 한다.
속보는 뉴스의 성질이지 결코 본질이 아니라는
진부한 얘기도 하고 싶지 않다.
"다행"에서는 속내가,
"사망"에서는 경박함이
"분명한 찬스"에서는 확증편향이
뻔해 보이는 데도 반성은 전혀 없다.
모른 척하거나,
심지어 소리를 잘 들리게 하는
장비를 사주자는 황당한 대책도 나온다.
이 지경인데도 "군축"을 "경축"이라 우기며
안팎에서 무섭게 짖어대던 '워치독'들은
온 데 간 데 없다.
사측에 묻는다!
이것이 '공정보도'인가?
설마, 이것이 '맥락에 따른 보도'인가?
당기순손실이 난줄도 모른 채 성과급을 뿌리고,
회사 곳간을 털어 주주에게 인심을 쓴다고 하여
당신들의 치부가 가려질 거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10여년 전 타계한 CBS 앵커 월터 크롱카이트의 말이다.
"매우 부끄럽게도, (세상에는) 읽지 못하거나
(비슷하게 불행하게도) 읽지 않으려는 많은 대중이 있다.
이들은 선동정치가의 열렬한 지지자들이다."
현상의 양면을 외면하는 순간,
YTN이 설 자리는 어디에도 없다.
사측은 통렬히 반성하라 !
2020. 3. 23.
YTN방송노조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