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수당부터 챙긴 대구, 이럴 순 없다

입력 2020-03-07 06:30:00

온 나라가 코로나19 극복에 힘을 쏟는 가운데 대구시의 '황당한 행정'이 논란이 됐다. 정부가 지난달 26일 코로나19 확산 방지 긴급대책비로 513억원을 편성, 100억원을 재난안전특별교부세로 보내자 대구시는 이 가운데 75억원을 8개 구·군에 나눠주고 25억원을 직접 집행하기로 했다. 문제는 25억원의 40%인 10억원을 각종 수당 등으로 배정한 사실이다. 돈 사용의 우선순위를 따지면 논란을 부를 만하다.

무엇보다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내린 대구시의 행정이 실망스럽다. 코로나19 사태에 동원된 공무원의 노고와 희생을 모르는 바 아니다. 특히 대구에서는 지난달 18일 처음으로 신천지 교인의 31번 확진자 발생 이후 급증한 환자와 사망자로 뒷수습과 예방 행정에 나서느라 모두 비상 근무 중이다. 정상적 출퇴근이 힘든 연장 근무에 피로 누적과 감염 위험 등으로 사기 저하와 심신의 고통에 따른 수당 지급은 마땅하다.

그렇더라도 정부가 대구의 어려움을 고려해 긴급대책비를 마련해 내려보낸 만큼 우선순위를 정해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게 맞다. 게다가 지금 환자 진료와 치료에 나선 의료진의 마스크와 방호복조차 모자라 발을 구르는 판이다. 시민들 역시 마스크 한 개라도 구하려고 몇 시간씩 줄을 선 모습은 외국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참담한 지경임을 대구시 당국이 결코 모를 리 없다.

이런 절박함을 안타깝게 여겨 나라 안은 물론, 나라 밖 교포와 외국인까지 대구를 돕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이들은 마스크에서부터 각종 구호품, 성금, 의료 장비 및 인력에 이르기까지 최대한의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 같은 나라 안의 민(民)·관(官)·군(軍)이 하나가 되어 사태 극복에 나서자 미국 ABC방송은 "대구에는 절제심 강한 침착함과 고요함만이 버티고 있을 뿐"이라며 호의적인 응원의 방송까지 보탰다.

다행히 대구시가 이번 결정을 본지 취재로 뒤늦게 재검토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뒷날 대구 공격의 또 다른 빌미가 되지나 않을까 두렵다. 가뜩이나 대구를 곱잖게 보는 일부 정치인과 작가, 누리꾼 등이 사실과 다르게 대구 때리기에 나선 사례가 숱하지 않았던가. 이제 대구시는 한 푼의 돈도 용처에 맞는 예산 집행 등 오직 코로나19 극복에만 행정력을 맞출 것을 주문한다. 지금의 수고와 희생 역시 우리 모두 높이 사고 있음을 잊지 말아주길 바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