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국 학교 개학 추가 연기, 대구에 이어 타 시·도도 23일로 개학 미뤄

입력 2020-03-02 16:47:38

교육부, 코로나19 대응 위해 개학 2주 더 연기
원격교육지원센터 운영해 대학 원격 교육의 질 담보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개학 추가연기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개학 추가연기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에 이어 나머지 시·도까지 학교 개학이 추가로 연기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숙지지 않은 탓에 감염이 확산하는 걸 막기 위해 교육부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교육부는 2일 '교육 분야 학사 운영 및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유·초·중·고 추가 개학 연기 및 후속 지원 방안'과 2020년 1학기 대학 학사 운영 권고안이 담겼다.

교육부는 이날 전국 모든 유·초·중·고의 새 학기 개학일을 9일에서 23일로 2주 추가 연기한다고 밝혔다. 대구시교육청이 지난달 29일 개학을 2주 더 미룬다고 발표한 데 이어 이번 조치가 취해지면서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이 23일로 변경됐다.

이 같은 결정은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진정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질병관리본부 및 관련 전문가와 긴밀히 협의 끝에 3월 최소 3주 정도 휴업이 불가피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당장 문제가 되는 것은 수업일수 확보. 교육부는 여름과 겨울방학을 우선 조정해 수업일수가 모자라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추가 휴업이 발생하면 법정 수업일을 10%(유치원 18일, 초·중·고 19일) 범위에서 감축한다.

교육부는 또 후속 지원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 3월 첫 주에 담임 배정과 교육과정 계획 안내를 완료한다. 또 디지털 교과서 e-학습터, EBS 동영상 등 자율형 온라인 콘텐츠를 초·중·고 학생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둘째주부터는 온라인학급방 등을 통해 예습 과제 및 학습 피드백을 제공하기로 했다.

긴급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추가 수요 조사도 실시한다. 전담 인력과 교직원이 학생들을 챙긴다. 돌봄 기간 중에는 마스크 등 방역물품을 충분히 비치, 안전한 돌봄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함께 학원가에 다시 휴원을 권고한다. 학원에 대한 현장점검도 강화한다. 기존에는 교육부, 시·도교육청 합동으로 실시했으나 지자체 등을 포함해 진행하기로 했다. 또 향후 학원이 개원할 때 방역·소독비를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라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이 2주일 더 연기됐다.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초등학교 교문에 붙은 시설 임시 폐쇄 안내문. 연합뉴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라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이 2주일 더 연기됐다.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초등학교 교문에 붙은 시설 임시 폐쇄 안내문. 연합뉴스

이날 교육부는 올해 1학기 대학 학사 운영 권고안도 내놨다.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등교에 의한 집합수업은 하지 않고 원격수업과 과제물 활용 수업 등 재택수업을 실시하는 게 핵심이다. 구체적 방식은 대학 여건에 따라 교원, 학생 의견을 수렴해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다.

또 대학이 원격수업 교과목 개설, 콘텐츠 구성방식 등을 자체적으로 편성해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수업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 교육부가 (가칭)원격교육운영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원격교육지원센터를 지정해 운영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전국의 유·초·중·고와 대학이 개학을 연기하는 상황"이라며 "위생 수칙 준수부터 관계기관 협력에 이르기까지 모두 고통을 분담하고 위기를 관리하는 데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최신 기사